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서 비롯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로금리 정책이 2023년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례없는 경제 셧다운 사태로 인한 불경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통화정책 정상화에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 연방준비제도 본부[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와 함께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10조달러 선을 둟고 오를 가능성도 제시돼 관심을 끌고 있다. 아울러 이번주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월가에서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둘러싼 논란이 후끈 달아 올랐다.
26일(현지시각) 블룸버그가 투자은행(IB) 업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제로금리 정책이 3년 이상 지속될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현행 0~0.25% 수준인 미 연방기금 금리가 최소한 2023년까지 인상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고, 2022년 전까지 금리인상이 어렵다는 주장도 22%에 달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 역시 전례없는 규모로 불어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통화정책 정상화이전 4조달러 선까지 불어난 뒤 줄어들기 시작했던 자산 규모는 코로나19 충격을 진화하기 위한 대규모 자산 매입이 시행되면서 지난 22일 기준 6조5700억달러까지 불어난 상황.
월가는 대차대조표 규모가 10조9000억달러까지 불어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기업부터 소비자까지 줄도산 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연준의 직간접 유동성 공급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특히 오는 28~29일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자들이 일드커브 통제를 위해 자산 매입 규모를 조정할 가능성이 낮다는 데 시장 전문가들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같은 시장 전망은 이른바 코로나 쇼크에 따른 미국 경제의 침체 리스크와 무관하지 않다. 폭스 비즈니스에 따르면 미 의회예산국(CBO)은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12% 위축될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 2020 회계연도 연방정부의 재정적자가 3조7000억달러까지 불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투자자들은 극심한 벼랑 끝 위기에 대한 연준의 대응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88%에 달하는이코노미스트가 제롬 파월 의장의 정책 해법에 훌륭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 파월 의장의 시장 신뢰는 엘런 그린스펀 전 의장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한편 채권시장의 투자자들은 이번주 FOMC를 앞두고 미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팬데믹으로 인한 수요 쇼크에 최근 마이너스 국제 유가 사태까지 맞물리면서 이른바 D의 압박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시장의 2030년 평균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반영하는 10년물 BER(Breakeven Rates, 10년 만기 명목 국채 수익률과 물가연동채권(TIPS) 수익률 차이)은 최근 일시적으로 마이너스 영역으로 떨어진 뒤 반등, 1.1% 선에서 등락하고 있다.
이번 통화정책 회의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채권시장 트레이더들은 디플레이션 리스크에 대한 정책자들의 발언을 기다리고 있다.
웨스턴 애셋 매니지먼트의 프레드 마키 이코노미스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물가상승률이 점차가라앉다가 내년 디플레이션이 가시화될 전망"이라며 "다만, 상황이 수 년간 장기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체비 체이스 트러스트의 크레이그 퍼닉 채권 헤드는 "소비자 수요와 지출이 앞으로 1~2년 사이에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미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발생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책자들 사이에서도 이 같은 우려가 제기됐다.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최근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한 정책 수단을 동원할 뜻을 밝혔고,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 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역시 디플레이션 리스크가 상당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