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까지 '판데믹의 한 가운데서 예술의 길을 묻다-작업' 전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미술가에게 '작업'은 다른 분야의 '작업'과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서울대학교미술관은 코로나 시대 '신체'에 대한 관심이 이전과 다름을 깨닫고, 미술가의 '작업'이 여타의 작업과 무엇이 다른지 짚어본다. 아울러 행위보다 아이디어 축적으로 굳혀진 현대미술에서 수행적 의미의 '작업'의 자리와 가치도 알아본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서울대미술관 '작업'전 전경 2020.07.06 89hklee@newspim.com |
심상용 서울대학교미술관 관장은 6일 '판데믹의 한 가운데서 예술의 길을 묻다-작업'전 간담회에서 코로나 사태로 '신체'적 사건에 주목한 것을 계기로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심 관장은 "작업은 태도에서 오지만, 태도가 예술인 것은 아니다"면서 "태도는 '어떤 일이나 상황, 대상에 대해 생각하거나 느끼고 행동을 결정하도록 이끄는 방식'"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작업'이라는 존재론적 변역과 물리적 또는 신체적 구현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20세기 후반부터 미술계는 '머릿속'과 '태도'에 초점을 맞춘 현대미술이 자리잡았다. 뒤샹의 '레디 메이드' 이론에 따르면 기성품인 변기도 작품이 될 수 있다. 이렇듯 '태도'만 있으면 예술이 되는 시대가 열렸는데, 실은 '태도'만으로는 예술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이 전시의 주제다. 특히 코로나 시대를 기점으로 과정 없는 결실에 대해 다시 한번 되돌아보는 시간을 선사한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나혜석_자화상_캔버스에 유채_63.5x50cm_1928 [사진=수원시립미술관/서울대미술관] 2020.07.06 89hklee@newspim.com |
심 관장은 "'생각이 너무 많은 사람은 결코 작가가 될 수 없다'라고 한 앙리 포시옹의 말이 있다. 이는 비단 예술에만 국한된 성찰이 아니었던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전시에 초대된 작가들은 서구적 시각에 기대온 국내 미술에서 비주류로 분류되는 경험을 감내해냈다"면서 "이들은 필연적으로 포스트 판데믹 시대가 요구하게 될 새로운 규범이 될 정신적 자산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시 참여 작가는 구본주, 김명숙, 김승영, 김창렬, 나혜석, 안창홍, 오귀원, 이응노, 이진우, 장욱진, 조성묵, 최상철, 홍순명, 황재형 등 14명이다. 전시는 저항, 역류, 고독 세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
이응노 작가의 '군상' 시리즈를 비롯해 신여성의 모습을 담은 나혜석의 '자화상'과 싸움 대신 가족과의 정을 주로 담은 장욱진 작가의 '닭과 아이' '황툿길'도 눈길을 끌 예정이다. 그뿐만 아니라 '예술은 일상'을 강조한 조성묵 작가의 '빵의 진화'를 통해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우산과 의자, 화분의 예술화도 경험할 수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2020.07.06 89hklee@newspim.com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업자 세실 로즈가 악랄한 자본가이면서 영웅으로 대접받는 아이러니를 담은 홍순명 작가의 '다이아몬드 포레버-세실 로즈'부터 조각, 설치 작업을 섭렵한 김승영 작가의 '슬픔'도 전시된다.
이날 전시간담회에 참석한 홍순명 작가는 "코로나 사태로 작업실에 계속 있을 수밖에 없었다"면서 "작업실에 처박혀 있는게 익숙한 사람이 예술가이고, 그걸 잘하는 사람이 작가임을 다시 느끼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7일 개막해 오는 9월 20일까지 선보인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