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20일 "메가시티 추진은 지역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차원의 경쟁력 때문에라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1 영남미래포럼 – 영남권 대통합, 대한민국의 중심으로'에 참석해 "지역의 소멸도 문제지만 수도권의 과밀도 문제가 되고 있고 그래서 국가 전체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지금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 |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1 영남미래포럼 – 영남권 대통합, 대한민국의 중심으로'에 참석해 메가시티 추진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사진=경남도] 2021.07.20 news2349@newspim.com |
그는 "국가경쟁력과 함께 세계적 흐름, 우리나라 균형발전의 역사적 관점에서도 메가시티 추진이 꼭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플랫폼이 갖춰진 수도권 한 지역만의 외발자전거로 굴러가는 대한민국은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 비수도권 초광역협력, 메가시티를 통해 여러 개의 바퀴로 안정적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 지사와 박형준 부산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 영남권 5개 시․도지사와 김사열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청년들이 살기 좋은 경남과 영남권의 미래 비전을 묻는 김사열 위원장의 질문에 '청년이 빠져나가는 지역은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운을 뗐다.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몰려가는 원인을 일자리, 교육, 주거, 문화 등으로 진단한 김 지사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양과 질의 문제에 있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가 존재한다"며 "전철, 순환철도망을 중심으로 한 광역대중교통망 인프라의 차이가 선택하고 지원할 수 있는 일자리 기회를 더 양극화시킨다"고 주장했다.
5명의 시․도지사는 포럼을 마친 뒤 '제2회 영남권미래발전협의회'를 개최하고 영남권의 공동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협의회는 지난해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영남권 공동발전 협력을 위해 구성됐으며, 2020년 8월 창원에서 첫 모임을 가진 후 이번이 두 번째다.
이날 회의에서는 앞선 포럼에서 논의된 초광역협력의 국가정책화, 디지털·그린·경제 선도 초광역 경제협력 구축, 에너지 정책 개편을 통한 친환경 경제 대전환,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신공항 조속 건설 등 영남권 현안사업의 공동 대응을 위한 공동협약서를 채택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