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프로젝트 2021: 상상의 정원', 11월28일까지 전시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덕수궁 프로젝트 2021:상상의 정원'을 통해 궁궐의 전통과 현대미술이 만나 새로운 전시를 선보인다.
김인혜 근대미술팀장은 9일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덕수궁 내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덕수궁 프로젝트 2021: 상상의 정원' 언론공개회에 참석해 "이번 프로젝트가 2012년 처음 개최되고 올해로 네 번째다. 요즘 시대에 힐링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자, 누구나 즐기고 상상할 수 있는 전시"라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덕수궁 프로젝트 2021: 상상의 정원' 포스터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1.09.09 alice09@newspim.com |
'덕수궁 프로젝트'는 2012년에 처음 시작돼 2017년, 그리고 재작년에 이어 올해로 네 번째를 맞았다. 이번 전시에는 현대미술가 권혜원, 김명범, 윤석남, 이예승, 지니서와 조경가 김아연, 성종상, 애니메이터 이용배, 식물학자·식물세밀화가 신혜우, 무형문화재 황수로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 9팀이 참여했으며 '정원'을 매개로 덕수궁의 역사를 돌아보고 동시대의정원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전시이다.
이날 박혜성 학예연구사는 "덕수궁을 '고궁'이라고 부르지만 '고궁'이 어울리지 않는 이름"이라며 "고종이 대한제국을세우며 등장하는 것이 바로 이번 전시가 열리는 덕수궁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세 번의 덕수궁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이전에는 건축물에 집중을 했다면 이번에는 그간 주목을 덜 받은 정원에 주목하고 싶었다. 조선시대 후반에 정원을 짓는 게 유행이었는데 땅이 없는 문인들은 상상의 정원을 만들었다고 하더라. 이번 덕수궁 프로젝트에서 작가들은 정원의 역사, 사상, 실천을 다시 생각하고 재해석하며 다양한 관점을 지닌 열린 정원, 상상의 정원을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윤석남 작가의 '눈물이 비처럼, 빛처럼:1930년대 어느 봄날'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1.09.09 alice09@newspim.com |
아홉 작가들의 전시는 중화전 앞 행각부터 시작해 금천교, 함녕전, 덕흥전, 석어당, 준명당, 석조전 앞 등 덕수궁 곳곳에배치돼 있다. 이중 윤석남 작가의 '눈물이 비처럼, 빛처럼: 1930년대 어느 봄 날'은 폐목을 재생시킨 전시를 선보였다.
윤 작가는 석조전 대정원이 완성될 무렵 식재된 고목과의 상상의 대화를 작품에 담았다. 윤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 극히소수만 접근 가능했던 궁궐이 개방된 공공장소로 변화한 것을 중요한 사건으로 보고, 이름 없는 조선 여성들의 얼굴과 몸을 명쾌한 윤곽선과 밝은 색으로 그려 덕수궁에서 새로운 시대를 마주한 그들의 의지와 기대를 담아냈다.
권혜원 작가의 '나무를 상상하는 방법'은 몇 백 년 전부터 미래에 이르기까지 덕수궁 터에서 정원을 가꾼 5인의 가상 정원사를 상상해 영상에 담아냈다. 20분 남짓의 영상에는 식물들의 시선에서 덕수궁을 바라보는 이야기가 더해져 있다.
이번 전시에는 영상뿐 아니라 애니메이션도 전시돼 있다. 애니메이터 이용배와 조경학자 성종상은 근대적인 대한제국을꿈꿨으나 외세에 의해 좌절되는 격변의 시대를 살았던 고종의 삶을 되돌아보며, 그가 상상했을 정원을 애니메이션으로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이용배, 성종상 애니메이터의 '몽유원림'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1.09.09 alice09@newspim.com |
특히 애니메이션 '몽유원림'은 덕수궁에서 개방하지 않는 곳이자, 고종의 침소로 잘 알려진 함녕전에서 전시된다. 평소에는 전시가 불가능하지만, 이번 '덕수궁 프로젝트'에서는 입장까지 가능하다.
이용배 교수는 "이번 애니메이션을 구상하기 어려웠다. 늘 보는 고종 이미지와 덕수궁 테마와 어울릴까 고민이 많았다"며 "고종이 꿈꿨을 정원을 자유롭게 상상하는 모습으로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박혜상 학예연구사는 "이번 애니메이션으로 전통정원의 정수를 감상하길 바란다"며 "밤에는 가끔 창문을 개방해 정말 정원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니 밤에도 꼭 방문해보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눈여겨 볼 또 다른 전시는 바로 신혜우 작가의 '면면상처: 식물학자의 시선'이다. 식물학자로도 활동중인 신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덕수궁 내에서 자라나는 풀들을 직접 조사, 관찰해 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신혜우 작가의 '면면상처: 식물학자의 시선'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1.09.09 alice09@newspim.com |
신 작가는 "이 전시가 열리는 방은 '대한제국 시기에 식물연구학자가 있었다면 어땠을까'라는 상상으로 꾸몄다. 지난 4월부터 덕수궁 내 식물들을 조사했는데 160여종 정도 조사했다"고 말했다.
이어 "방의 메인이 바로 우산이끼이다. 우산이끼를 이번 전시를 위해 그렸는데, 덕흥전 옆에도 피어있다. 우산이끼는 우리 민족과 닮은 식물"이라며 "힘이 없고 존재감 없어 보이지만 오래 존속된 원시적인 식물"이라고 설명했다.
눈으로 보는 전시들 사이에서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시들도 존재한다. 이예승 작가는 덕수궁 곳곳에 QR코드가 담긴 작품들을 전시했다. 해당 QR코드는 SNS 플랫폼 중 하나인 인스타그램과 연동돼 조금 더 다채로운 체험형 전시를 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김명범 작가의 '원'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1.09.09 alice09@newspim.com |
이 작가는 "전시를 준비할 때 전통과 현대는 맞닿아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전통 구조물 안에 QR코드를 준비해 현대에서도 함께 즐길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상상의 정원'에는 황수로 작가의 '홍도화'가 석어당에 전시돼 있다. 매화 나무에 오얏꽃을 섞었으며, 조선시대꽃꽂이가 없었던 것을 차용했다. 특히 조화는 영원불멸을 상징하는 만큼 '홍도화'도 비단과 천연재료로 만들어졌다.
또 김명범 작가는 '원'을 통해 장수를 상징하는 사슴과 뿔 대신 식물을 조합해 신선계를 느낄 수 있는 전시를 준비했다. 아울러 김아연 작가는 고종일가 사진에 등장한 카펫을 고증해 재현한 석조전 접견실 카펫의 문양과 덕수궁 전통 건축물의단청 문양을 연구해 그 색과 디자인을 조화롭게 섞어냈다.
또 가든카펫 테두리에는 살아있는 식물을 심으면서 동양과 서양, 인공과 생명 등 서로 다른 존재들이 만나고 충돌하고 공존하는 정원을 완성시켰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무형문화재 황수로의 '홍도화'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1.09.09 alice09@newspim.com |
마지막으로 지니서 작가의 '일보일경'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바로 보이는 곳에 설치됐다. 이곳은 1911년 석조전 앞 대정원을 완성하기 위해 중화전 행각을 훼철한 곳이기도 하다.
지니서 작가는 장소가 지닌 역사성에 주목했다. 동과 서, 전통과 근대의 '다름'을 '차이'로 보고, 그 대립과 갈등을 강조하는 대신 '간격'으로 간주해 둘이 서로를 마주보게 했다.
박 연구사는 이번 작품에 대해 "'일보일경'은 날씨와 시간에 따라 작품을 즐기는 느낌이 달라진다 작품이 만들어내는 그림자가 달라지기 때문"이라며 "이번 전시와 가장 잘 맞닿은 작품"이라며 평했다.
끝으로 박 연구사는 "'덕수궁 프로젝트'를 준비하며 문화재 훼손에 대한 걱정도 많았는데, 그래서 이번뿐 아니라 매 전시가 힘들었다. 이번 전시도 문화재를 존중하며 준비했으니 많이 오셔서 즐겨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한편 '덕수궁 프로젝트 2021: 상상의 정원'은 내일(10일) 시작으로 오는 11월 28일까지 덕수궁 야외에서 개최된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