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현 시의원 "대전시교육청, 급식실 안전환경 재점검 해야"
[대전=뉴스핌] 김동현 기자 = 대전지역 학교 급식실 사고가 매년 증가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기현 대전시의원(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유성구3)은 8일 보도자료를 내고 "학교급식실 사고 증가하고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
정기현 대전시의원(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유성구3)은 8일 보도자료를 내고 "학교급식실 사고 증가하고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2021.11.08 kdh@newspim.com |
정 의원에 따르면 2017년부터 5년 간 90개 학교에서 115건의 급식실 사고가 보고됐다. 정 의원은 "이들 모두 산재 휴직이나 병가를 승인받은 사례로, 산재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사례까지 더하면 그 수는 훨씬 더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급식실 사고는 2017년 19건, 2018년 20건, 2019년 31년, 2020년 35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심지어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급식이 상당기간 중지됐음에도 늘어났다.
사고 유형으로는 ▲급식실 바닥에서 넘어짐(42건) ▲온수에 의한 화상 사고(29건) ▲조리기구에 끼거나 칼에 베임 (20건) ▲근골격계 질환(14건)으로 나타났다.
또 이 기간 중 2건 의상의 사고가 보고된 학교는 모두 15개였는데, 노은고가 5건, 한밭초와 신탄진고가 4건으로 뒤를 이었다.
증상에 따라 산재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정 의원은 "교육공무직 노조에 따르면 손목터널증후군이나 허리통증, 하지정맥류 같은 질병은 업무 관련성을 입증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산재처리가 어렵다고 호소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타 시도 교육청에 비해 열악한 조리원 배치 기준 개선과 업무에 필요한 개인 장구도 기준을 세워 지급하는 등의 급식실 안전 환경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시 교육청 차원에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