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A주 오전장 요약] 하락 마감, 양로·반도체株 강세

기사입력 : 2021년11월25일 14:50

최종수정 : 2021년11월25일 14:50

상하이종합지수 3589.18 (-3.52, -0.1%)

선전성분지수 14852.42 (-35.18, - 0.24%)

창업판지수 3478.23 (-0.43, - 0.01%)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25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오전장을 하락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0.1% 내린 3589.18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전성분지수는 0.24% 하락한 14852.42포인트로, 창업판지수도 0.01% 소폭 내린 3478.23포인트로 오전 거래를 마쳤다.

전날 강세를 보였던 메타버스 테마주를 비롯한 석탄, 철강 등 섹터는 약세를 나타난 반면 양로, 반도체, 항노화 신물질인 니코틴아마이드 모노뉴클레오타이드(NMN), 화웨이의 자체개발 운영체제(OS)인 훙멍(鴻蒙·하모니) 테마주가 눈에 띄는 상승세를 연출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1월 25일 상하이종합지수 오전장 주가 추이.

◆ 상승섹터: 양로, 반도체, NMN, 훙멍 테마주

(1) 양로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중국 당국이 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업무를 강화하는 문건을 발표한 것이 호재로 작용함.

전날 중국 국무원 등은 '신 시대 고령 업무 강화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고 노인요양기관의 진일보한 규범화 발전, 관련 지원 정책 완비를 주문함. 특히, 실버산업 육성을 위한 자금 수요가 커질 것에 맞춰 관련 재정 투입 정책과 다채널 융자 메커니즘을 완비할 것을 강조함.

중태증권(中泰證券)은 향후 5~10년 중국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인 돌봄, 장례 서비스 등 관련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관련 특징주:

호남개발(湖南發展·000722): 8.42 (+0.77, +10.07%)

광주주강실업(珠江股份·600684): 3.45 (+0.31, +9.87%)

이화헬스케어(宜華健康·000150): 3.94 (+0.21, +5.63%)

봉황부동산투자(鳳凰股份·600716): 4.13 (+0.20, +5.09%)

(2) 반도체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반도체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소식이 해당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허쉰(和訊) 등 중국 매체는 국제반도체 장비재료협회(SEMI)의 전망을 인용, 올해 반도체 제조공장 건설에 대한 투자가 180억 달러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며 2022년 투자 규모가 270억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함.

전기차, 사물인터넷(IoT), 5G 스마트폰 및 데이터센터 서버 등 시장의 급성장으로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생산액이 20% 이상 증가, 반도체 설비 시장도 30%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관련 특징주:

부한미전자(富瀚微·300613): 196.13 (+32.69, +20.00%)

국민기술(國民技術·300077): 28.93 (+3.35, +13.10%)

탁승미(卓勝微·300782): 377.80 (+38.89, +11.48%)

성방마이크로전자(聖邦股份·300661): 357.88 (+14.28, +4.16%)

(3) NMN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중국 정부가 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업무 강화를 강조한 문건을 발표한 것이 실버산업 테마주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됨.

노화억제 물질인 니코틴아마이드 모노뉴클레오타이드(NMN)는 화장품, 의료 및 건강식품 등 노화방지 관련 제품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짐.

▷관련 특징주:

중생제약(眾生藥業·002317): 11.76 (+1.07, +10.01%)

이강제약(爾康製藥·300267): 4.46 (+0.27, +6.44%)

한우제약(翰宇藥業·300199): 9.59 (+0.32, +3.45%)

(4) 훙멍 테마주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지난 19일 개막해 28일까지 열흘간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되는 '2021 광저우 국제 모터쇼'에서 화웨이의 독자 개발 운영체제(OS)인 훙멍의 차량용OS가 탑재된 차량이 공개됐다는 소식이 주가 상승 재료가 된 것으로 보임.

화웨이와 베이징자동차가 공동 개발한 자율주행 전기차 '아크폭스 알파S HI버전'과 베이징자동차 산하의 휘발유 SUV인 '모팡(魔方)'에 스마트 콕핏(cockpit·자동화된 조종석) 및 훙멍 차량용OS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짐.

▷관련 특징주:

초도소프트웨어(超圖軟件·300036): 33.96 (+2.62, +8.36%)

윤화소프트웨어(潤和軟件·300339): 28.99 (+1.76, +6.46%)

우박신과기(優博訊·300531): 19.64 (+1.11, +5.99%)

신대륙컴퓨터(新大陸·000997): 16.72 (+0.68, +4.24%)

◆ 기타 특징적인 내용

-25일 오전 상하이·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 6957억 위안.

-해외자금은 유출세가 우위.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 3687만 위안 순매도.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