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 조각'의 루이스 부르주아 '내면으로'연작과 조각 전시
국제갤러리 K2에선 단색화 거장 권영우 작품전, 미공개작품 나와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 = 이 작가는 일평생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작업했다. 어린 시절에 겪은 가족사와 상처가 깊은 트라우마가 돼 작가를 끝없이 뒤흔들었지만 이를 미술로 치유하며 놀라운 작품들을 직조해냈다. 프랑스 태생의 미국의 조각가이자 현대미술 거장인 루이스 부르주아(1911-2010) 이야기다.
국제갤러리(회장 이현숙)는 올해 마지막 전시로 부르주아의 개인전 '유칼립투스의 향기(The Smell of Eucalyptus)'를 개막했다.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각과 설치미술, 평면작품이 망라된 이번 전시는 2012년에 이어 9년 만에 국제갤러리가 기획한 부르주아의 개인전이다. 지난 2010년 99세를 일기로 숨을 거둔 부르주아는 말년에 이르기까지 예술적 실험의 끈을 놓지않고 미술사에 길이 남을 역작을 남겼다. 특히 페미니즘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후대의 미술가들에게 지대한 영감을 주며 가장 영향력있는 작가 중의 한명으로 꼽힌다.
[서울=뉴스핌]이영란 기자=국제갤러리에서 개막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유칼립투스의 향기'전 설치전경. [사진=국제갤러리] 2021.12.23.art29@newspim.com |
하지만 부르주아를 단순히 페미니즘 아티스트로 규정짓는 것은 너무 좁은 울타리에 작가를 가두는 것이다. 그는 조각 회화 판화 섬유미술 퍼포먼스 설치미술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기존 미술의 형태적, 개념적 한계를 뒤흔들었다. 물론 페미니즘에 뿌리를 두긴 했으나 초현실주의와 모더니즘을 천착했고, 종국에는 주류 미술사조를 초월하며 내밀하면서도 고유한 조형언어를 확실히 구축한 것이다.
이번 전시의 타이틀인 '유칼립투스의 향기'는 출품작의 개별 제목이자, 부르주아의 후기 작품에서 특히 비중있게 조명되는 자연의 순환및 오감을 드러내는 문구다. 그리스어인 '유칼립투스'는 '아름답다'와 '덮인다'의 합성어로, 꽃의 모양에서 유래된 말이다. 1920년대 후반 프랑스 남부에 거주하며 병든 어머니를 간호하던 부르주아는 약용식물인 유칼립투스를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때문에 유칼립투스는 작가에게 있어 어머니와의 관계를 상징하는 것이자 그 향기는 특히나 어머니를 떠올리는 중요한 단초다. 세월이 흘러 노년의 부르주아가 집중적으로 탐색한 '모성 중심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매개체로 기능하기도 했다. 뉴욕으로 이주한 뒤에도 부르주아는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유칼립투스를 태우며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어머니와의 관계를 회상하곤 했다. 결국 유칼립투스는 작가의 추억기제를 촉발하고, 삶 곳곳에서 실질적, 상징적으로 쓰이며 미술의 치유적 기능을 구현하는 촉매가 됐다.
[서울=뉴스핌]이영란 기자=루이스 부르주아 'TURNING INWARDS SET#4(SWELLING)'2007. Etching on paper, diptych. 152.1x92.7cm(왼쪽),152.4x93.1cm(오른쪽) ©The Easton Foundation/VAGA at ARS, New York/SACK, Seoul [사진=Ken Adlard,국제갤러리] 2021.12.23.art29@newspim.com |
유칼립투스 연작 외에, 이번 전시에는 '내면으로 #4(Turning Inwards Set #4)' 시리즈의 대형 에칭 작품 39점이 나와 눈길을 끈다. 부르주아는 생애 마지막 10여년간 '내면으로'라는 타이틀로 다양한 종이작업을 펼쳤다. 그 중 첫번째 연작은 뉴욕의 현대미술관(MoMA)에 컬렉션되었고, 두번째 연작은 런던의 테이트 모던에 컬렉션됐다. 서울 국제갤러리에 내걸린 것은 '내면으로'라는 타이틀의 네 번째 연작이다.
대부분 세로 1.5m 안팎의 기다란 형태의 소프트그라운드 에칭(soft-ground etching)인 이번 세트는 부르주아가 말년에 몰두했던 식물의 줄기와 잎사귀를 연상시키는 구불구불한 곡선에서부터 씨앗 또는 꼬투리인 듯한 기이한 형상, 여러 개의 눈을 달고 있는 인물 형상, 힘차게 똬리를 틀고 있는 신체 장기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이는 작가의 조각 작품에 등장하는 추상 및 반추상 모티프들과 맥이 닿아 있기도 하다.
작품마다 상승과 하강, 긴장과 이완, 풍경과 신체, 내면과 외부 현실이 자유롭게 오버랩되며 역동성과 유연함이 동시에 드러난다. 하지만 제목이 암시하듯 39점의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는 역시 자기성찰이다. 구순의 작가는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내면에서 들리는 소리에 귀 기울이며 아름답고도 진솔한 작품을 빚어낸 것이다.
루이스 부르주아는 조각에서부터 드로잉, 설치, 회화, 바느질 작업까지 거의 모든 장르와소재를 오가며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고유하고도 방대한 예술세계를 구현했다. 이번 전시는 부르주아의 후기에 해당되는 2006~8년의 평면작업을 중심으로, 작가의 커리어 전반기에 제작한 조각과 설치미술을 곁들임으로써 일관된 주제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다룬 다양한 시기의 작품들이 서로 공명하고, 어우러지는 현장을 보여주고 있다.
1911년 파리에서 태어나 2010년 뉴욕에서 타계하기까지 두 대륙을 넘나든 루이스 부르주아는 70년에 걸친 예술가의 여정 중 조각가로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다. 하지만 시도하지 않은 장르가 없을 정도로 여러 영역을 오갔다. 시적이고 섬세한 드로잉에서부터 전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거대한 설치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인간의 상처, 불안, 사랑, 유기 등의 주제를 독창적이면서도 밀도있게 형상화했다.
부르주아는 1983년 프랑스 문화부장관이 수여하는 문화예술공로훈장을, 1997년에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이 수여하는 예술훈장을, 그리고 2008년에는 니콜라스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수여하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93년에는 베니스비엔날레에 미국관 작가로 참여했고, 1999년 참가한 베니스비엔날레에서는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세계 유수의 뮤지엄이 소장하고 있고, 뉴욕 현대미술관(MoMA), 프랑크푸르트 쿤스트페어라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주미술관, 파리 퐁피두센터 등에서 회고전이 열린 바 있다.
[서울=뉴스핌]이영란 기자=여러 겹의 한지 위에 물감으로 수직의 띠를 드러낸 권영우의 1980년대 작품 '무제'. 51x74cm. [사진 안천호,국제갤러리] 2021.12.23 art29@newspim.com |
한편 국제갤러리 2관에서는 단색화 거장 권영우(1926~2013) 화백의 작품전이 열리고 있다. 1978년부터 1989년까지 작가가 파리에 체류하며 작업할 당시의 백색 한지 작품과 1989년 귀국 후 선보인 색채 한지 작품, 기하학적 형상을 구현한 2000년 이후 작품 등 총 36점 작품들이 관객과 만나고 있다.
권영우는 한지를 여러 겹 붙인 후 이를 반복적으로 찢거나 뚫으면서 '깊은 울림'을 만들어낸 작품으로 유명하다. 이번 전시에는 그가 왜 단색화가로 분류됐는지를 알 수 있는 다양한 미공개 작품들이 나와 주목된다. 특히 1989년 귀국 직후에 작업한 채색작품은 이번 전시를 통해 대중에게 처음 선보여지는 작업이다. 한지 위에 서양의 과슈(gouache)와 동양의 먹을 혼합해 사용함으로써 여전히 종이를 주된 매체로 하되, 채색을 가한 작품이란 점에서 차별점을 보여준다.
화면을 찢고 뚫어 화면에 우연성을 드러냈던 이전 시기 작업과는 달리, 한지 위에 과슈와 먹을 롤러로 민 듯 평평하고 일률적인 검정색, 암갈색, 겨자색의 색면들을 선보인 이들 작업은 치열한 실험을 구가한 거장의 의지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동양적 정신성을 그윽하게 보여주면서도 시대를 앞서가며 변화를 추구했던 권영우의 예술세계는 오늘 다시 봐도 혁신적이다. 루이스 부르주아와 권영우 작품전은 2022년 1월 30일까지 계속된다.
art2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