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주요국 올해 '긴축 모드' 선언
금리인상·인플레→주식 조정·금값 하락
'가상자산' 새로운 투자처 떠올라
"가상자산, 주식시장 만큼 커질 수 있어"
[서울=뉴스핌] 이정윤 기자= 유례없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세계는 2년 가까이 금리를 내리고 돈을 풀었다. 하지만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를 시작으로 한국과 미국 등 주요국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긴축'으로 돌아서며 '유동성 파티'의 끝을 알렸다. 여기에 지난해 가상자산 열풍이 올해도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자산가들도 긴축시대에 가상자산 투자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국내 증시는 미국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기준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불확실성이 높아진 채로 새해를 맞았다. 특히 미국 등 주요국이 높아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고 있는 것이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15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이션 파이터' 선언에 가까웠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높은 물가상승률이 굳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쓰겠다"며 '매파'(통화긴축 선호) 메시지를 쏟아냈다. 코로나19로 인해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던 정책을 끝내고, 높은 물가 상승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확고하게 밝힌 것이다.
주요 투자은행들은 미 연준이 3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마친 뒤 연말까지 최대 4차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사정도 마찬가지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제로(0)금리에서 두 차례 기준금리를 올리며 연 1%대로 올라섰다. 한은은 올해도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22년 신년사에서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추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에선 올해 1분기 중 빠르면 이달을 시작으로 연내 3회 안팎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
금리인상으로 달러화 강세가 예상되면서, 주식시장은 코로나로 인한 유동성으로 인해 선전했던 것과 달리 다소 조정국면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실제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의 금리 인상과 함께,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난지원금 축소, 코로나19 새 변이의 확산 등 악재가 겹치면서 올해 증시가 지난해만큼 잘 될 것으로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금값은 6년 만에 큰 폭 하락했다. 통산 금은 안전자산으로 인식돼, 주식과 물가 변동에 대한 회피수단으로 쓰인다. 하지만 금리가 오를 때는 고전하는 경향이 있다.
올해 금값 전망이 좋지 않은 가운데 새로운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는 곳이 '가상자산'이다. 가상화폐가 점차 제도화되며 투자자산으로서 신뢰를 쌓아가고 있고, 기관 투자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결국은 우상향할 수밖에 없단 전망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연내 목표 가격을 20만달러까지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데일리FT의 크리스 베치오 선임 연구원은 WSJ에 투자자들에게 금 보유 비중을 5%에서 3%로 낮추고, 대신 나머지 2%는 가상자산에 투자하라고 권고했다고 전했다.
국내 은행들은 정부의 기조로 인해 적극적인 가상자산 투자는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가상자산 투자가 2030세대를 넘어서 장년층까지 번지면서 투자문의가 많이 오고 있다는 전언이다.
NH All100자문센터 김희정센터장은 "자문센터에서는 암호화폐가 변동성이 매우 크고 가격 예측이 불가한 자산이라는 측면에서 고객의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지는 않다"면서도 "다만 최근에는 비트코인 등으로 번 거액의 돈을 안전하게 투자하고 싶어하는 고객의 상담도 많아지다 보니 이러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니즈에 부합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인 투자자들은 단기에 높은 수익률을 경험한 고객들이다 보니 다시 코인투자로 되돌아 가는 경우가 많지만, 이런 투자자들도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면 수익의 일부분을 분할 매도해 변동성이 낮은 자산으로 분산투자를 고려해보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한PWM 김외순 BP팀장은 "기존의 센터를 방문하는 자산가들보다는 가상자산으로 큰 돈을 벌어서 다양한 상품에 재투자를 하려고 오는 경우는 있었다"면서 "20대 초반의 고객이 20억원 정도를 가상자산으로 벌어서 부동산, 주식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로 분배해 투자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 PB팀장은 "아직까지 가상자산이 금보다 낫다고 단언할 수 없지만 지속적으로 세계 흐름이 NFT, 가상자산 쪽으로 흘러가게 된다면 주식시장 만큼이나 커질 수 있는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yo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