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中 자동차 생산·판매 모두 경고등...전기차는 '쌩쌩'

기사입력 : 2022년04월08일 15:47

최종수정 : 2022년04월08일 15:47

코로나19 영향 등 업계 불경기 장기화 가능성도
신에너지차는 '호조', 고급차 브랜드도 '선전'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자동차 시장이 심상치 않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 전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주요 생산 기지들이 잇따라 봉쇄되면서 자동차 생산·판매부터 소비 모두에 경고등이 들어왔다. 지정학적 위기로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있는 것도 중국 자동차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사진=바이두(百度)]

◆ 코로나19 등 충격...조업 중단 기업 속출

올해 1분기는 중국 자동차 업계에 있어 역대급으로 힘든 시기였다. 당초 반도체 부족·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부담을 안고 출발한 상황에서 전염병 상황 악화로 도시 봉쇄령까지 내려지며 기업들의 조업 중단이 잇따랐다. 조업 중단으로 생산이 줄어든 것은 물론, 물류에도 차질을 빚으면서 신차 인도량이 감소함에 따라 실적에까지 악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연초 톈진(天津)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중외 합자 기업인 이치(一汽)도요타 톈진 공장이 수일 동안 조업을 중단하며 판매량이 크게 감소했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이치토요타의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4만 1000대, 5만 17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41%, 37.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에도 산발적으로 전염병이 발생하며 자동차 업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 데 이어 3월에는 신규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중국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충격을 줬다. 창춘(長春), 상하이(上海), 선양(沈陽) 등 중국 자동차 산업의 핵심 지역들의 전염병 상황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이 지역 소재 자동차 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이치그룹은 3월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창춘 소재 5대 공장 생산 가동을 중단하기로 했고, 화천(華晨)BMW 역시 3월 22일부터 선양 공장 조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기업 측의 공식 발표는 없지만 업계는 창춘 5개 공장의 4일간 조업 중단으로 이치그룹이 생산량 및 판매량에서 5만 대 가량의 손해를 봤을 것으로 추산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치그룹이 아직까지 정상 생산능력을 회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第一財經) 등은 이치폭스바겐 관계자를 인용, 창춘 공장의 조업 재개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

상하이 봉쇄 이후에는 상하이자동차그룹과 테슬라가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중국 최대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인 앱티브(Aptive) 역시 도시 봉쇄에 따른 생산 중단을 선언했다.

[사진=바이두(百度)]

◆ 中 자동차 시장 단기 내 회복 '난망'

중국 자동차 시장이 침체기에 놓여 있는 가운데 지금의 불경기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제기됐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협회의 7일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내 승용차 판매량이 150만 1000대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로는 20% 증가한 것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15% 감소한 것이다. 승용차시장정보협회는 또한 중국 자동차 업계의 올해 1~2월 업계 매출이 6% 증가했지만 비용 또한 8% 늘어나면서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다며, 자동차 업계 경영부담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중국자동차유통협회(유통협회)도 자동차 업계 상황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유통협회가 6일 발표한 최신 '중국 자동차 판매상 재고 경보지수(Vehicle Inventory Alert Index, 이하 재고지수)'에 따르면 이달 3월 중국 자동차 판매 업계의 재고지수는 63.6으로 최근 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1p, 전월 대비로는 7.5p 높아진 것이며 기준선인 50을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재고지수는 중국 자동차 시장 경기를 가늠하는 바로미터로서 지수가 높을 수록 시장 경기가 침체됐음을 의미한다.

유통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판매 목표치를 달성한 대리점은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치의 70% 내외를 달성한 대리점도 5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21세기경제보도] 2020~2021년 '중국 자동차 판매상 재고 경보지수(Vehicle Inventory Alert Index)'

유통협회는 3월 이후 전염병 상황이 심각해짐에 따라 봉쇄령을 발표한 도시가 늘어난 것이 소비자들의 외출을 제한했고 이로 인해 신차 인도량이 급감했다며, 시장 침체 분위기가 단기 내에 개선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에 대한 비관 정서가 팽배한 데다가 전염병 상황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부진한 흐름이 계속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염병에 더해 지정학적 충돌로 인한 에너지 가격 파동 역시 자동차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유통협회 쑤후이(蘇暉) 상무부 부이사는 "자동차 업계는 반복적인 전염병 유행과 복잡한 국제정세로 인한 리스크를 감내해야 하는 동시에 공급망 부족 및 에너지 가격 변동의 영향까지 감수해야 한다"며 "전염병 여파가 얼마나 클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자동차 시장이 부정적 영향을 소화하기에는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중국 자동차 시장은 현재 전염병 사태 발발 초기인 2020년 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며 "4월에도 판매량이 계속해서 부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통협회는 지난달 승용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0% 가량 감소한 160만 대 내외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신에너지는 '이상 무', 고급차 브랜드도 선전 

중국 자동차 시장이 부진한 것은 사실이지만 신에너지차 업계는 계속해서 선전 중이다. 연초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급감한 반면 신에너지차 업체들은 꾸준히 판매량을 늘려 왔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과 정부 보조금 삭감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기차 업계가 3월 세 자릿수의 동기 대비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중국승용차시장정보협회는 전망했다.

실제로 전기차 3대 스타트업 중 하나인 샤오펑(小鵬)의 지난달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2% 늘어난 1만 5400대로 나타났다. 이로써 샤오펑의 1분기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260% 늘어난 3만 4600대에 달했다. 

리샹(理想) 역시 지난달 전년 동기 대비 125% 가량 늘어난 1만 1000대를 팔면서 1분기 총 3만 1700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1분기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2.1% 늘어난 것이다. 

웨이라이(蔚來)는 3월에 9985대, 1분기를 통틀어서는 전년 대비 28.5% 늘어난 2만 5800대를 판매했다. 

최근 내연차 생산 중단을 선언한 비야디(比亞迪)는 지난달에만 10만 4300대를 판매하며 사상 처음으로 단월 판매량 10만 대 돌파를 실현했다. 이중 순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29.2% 증가한 5만 3700대, 플러그드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전년 대비 615% 이상 늘어난 5만 700대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승용차 시장에서 고급 브랜드와 함께 로컬 브랜드가 두각을 나타냈다는 점이다. 실제로 유통협회에 따르면, 3월 수입·고급 브랜드의 재고 경보지수는 57.5, 로컬 브랜드의 재고 경보지수는 61.1로 자동차 업계의 평균치 대비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중외 합자 브랜드의 재고 경보지수는 67.1%로 시장 평균치를 상회했다. 

중국자동차협회 역시 지난 1~2월 중국 로컬 브랜드의 고급 승용차 모델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65만 6000대를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현대차나 기아자동차가 중국에서 '저가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키면서 시장점유율을 빼앗기고 있는 데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현대차 중국 현지 합자회사인 베이징 현대의 지난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3.2% 감소한 38만 5000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능력을 크게 밑도는 것이자 지난해 판매 목표치(56만 대)에도 크게 못 미치는 수치로, 114만 대를 기록했던 2016년 대비 3분의 1 수준의 초라한 성적표를 내놨다.

기아차 합자 법인인 둥펑웨다기아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둥펑웨다기아 판매량은 2016년 65만 대로 고점을 찍은 뒤 2021년 15만 9000대로 급감했다. 

베이징현대와 둥펑웨다기아의 총 판매량을 보면 모두 2016년 고점을 찍은 뒤 5년 연속 하락 곡선을 그리면서 지난해 판매량은 2016년 대비 124만 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징타오 전 베이징현대 판매부본부장은 "베이징현대는 '성가비(性價比, 가성비)'만 강조하던 시장 전략을 포기해야 한다"며 "브랜드 차원에서 성능과 기술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 베이징현대 기술력은 중국에서 저평가 되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