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오피니언 외부칼럼

속보

더보기

[이철환의 우주이야기] 누리호 발사 성공의 의미

기사입력 : 2022년11월25일 08:09

최종수정 : 2022년11월25일 08:0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올해 6월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고, 지난 8월 쏘아올린 달 궤도선 '다누리호'는 우주에서 영상과 사진, 문자를 보내오고 있습니다. 우주에 관한 높아진 관심과 호기심을 풀어주기 위해 경제관료 출신 이철환씨가 최근 출간한 <우주패권의 시대,4차원의 우주이야기>중 일부를 저자와 협의해 칼럼 형식으로 게재합니다]

우주 강국을 향한 꿈을 담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022년 6월 21일 오후 4시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날아올랐다. 이어 오후 5시 12분쯤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을 공식화했다.

누리호는 2018년 11월 엔진 성능 검증을 위한 시험발사체 발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 2021년 3월에는 1단에 탑재되는 300t급 엔진의 연소시험에 성공했다. 2021년 10월에는 공식적인 1차 발사가 이루어졌지만, 3단 로켓엔진이 조기 연소 종료되면서 실패의 아픔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를 딛고 8개월 후에는 마침내 성공을 거둠으로써 대망의 7대 우주 강국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3단 로켓으로 구성된 누리호는 이날 오후 4시 전남 고흥의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127초 뒤 고도 59㎞에서 1단이 분리되었다. 233초 뒤 고도 191㎞에서 위성 등 발사체 탑재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페어링이, 274초 뒤 고도 258㎞에서는 2단이 떨어져 나갔다. 897초 후 고도 700㎞에 도달한 누리호는 3단 엔진이 꺼지며 성능검증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시켰다. 이후 967초에는 위성모사체까지 무사히 분리되면서 모든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목표 고도인 700㎞에 성공적으로 도달한 누리호는 성능검증위성을 적정 속도로 궤도에 밀어내는 후속 과정도 성공적으로 이행했다. 누리호는 목표 고도에 도달하는 순간을 기점으로 3단 엔진이 정지된다. 5초 뒤에는 발사체에서 위성이 잘 분리되었는지, 위성을 궤도로 밀어내는 속도는 목표한 대로 나왔는지 등을 3단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알 수 있게 설계되었다. 위성은 초속 7.5㎞의 속도로 목표 궤도의 오차 범위 내에 안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누리호는 발사 후 42여 분이 흐른 뒤 남극 세종기지와 첫 지상국 교신에도 성공했다. 이 교신에서 위성은 위성항법장치(GPS) 데이터를 송신했고 이를 받은 연구진은 위성이 제 궤도에 잘 안착했는지를 재차 확인했다. 위성은 이후 1주일간 메인 지상국인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지상국과 통신을 이어가면서 궤도 안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받았다.

'누리호'는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한 탑재 중량 1.5톤(t), 총중량 200톤, 길이 47.2m의 3단형 로켓이다. 2010년 3월부터 지상 600~800km 지구저궤도 및 태양동기궤도에 1.5t 실용위성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성능을 완성하기 위해 개발이 추진되었다. 이 누리호에는 순수 국내기술로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라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붙는다. 75t급 액체엔진, 대형 산화제 탱크, 초고온 가스가 흐르는 배관, 발사대 등 핵심 영역이 모두 순수 국내기술의 성과이기 때문이다.
순수 국산기술 발사체 누리호의 개발 과정은 나로호 개발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9년 나로호 첫 발사에서의 페어링 분리 실패, 2010년 1단 비행 구간에서의 폭발사고를 극복하고, 2013년 어렵사리 세 번째 시도 끝에 발사에 성공했다.
나로호는 러시아의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어렵게 성립된 한러 협력을 통해, 러시아의 1단 액체로켓과 우리의 2단 고체로켓을 결합하는 형태로 개발했다. 이처럼 우주발사체의 가장 중요한 1단 엔진이 러시아제였기 때문에 한국의 우주발사체라고 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누리호는 1단 액체엔진을 비롯한 모든 부품이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됐다. 우리 발사체로 우리 위성을 쏘아 올리고 우주탐사를 실현할 수 있는 진정한 우주자립을 이루게 된 것이다.

누리호 2차 발사에 성공을 거두기는 했으나, 이에는 1차 발사 실패라는 뼈아픈 경험도 겪어야만 했다. 2021년 10월 21일 첫 발사 당시, 누리호는 목표 고도 700km 도달에는 성공했다. 그러나 3단 로켓엔진의 속도가 초속 6.5km로, 목표 궤도속도인 7.5km/초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3단의 7t 엔진이 예상 시간보다 일찍 연소를 종료했기 때문이다.
또 1차 발사 때는 기능이 없는 1.5t의 위성모사체 (dummy 위성)만 탑재했지만, 2차 발사에서는 실제 위성을 실었다는 점이 큰 차이다. 2차 발사 때 누리호가 우주로 쏘아 올린 위성은 위성모사체와 함께 성능검증위성, 4기의 큐브위성까지 모두 3종류다.
가로와 세로 약 1m, 무게 약 162.5kg의 성능검증위성은 2년간 지구궤도를 돌며 임무를 수행한다. 첫 번째 임무는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 위성을 투입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성능검증위성에는 GPS 수신기가 달려있어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하다. 누리호 발사 후 42분경, 성능검증위성과 남극 세종기지의 첫 교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성공적인 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발사 이튿날인 22일 오전 3시경, 성능검증위성과 대전 지상국 간 양방향 교신까지 이루어짐에 따라 누리호의 위성궤도 투입 성능은 완전하게 확인되었다.

궤도투입 성능검증을 마무리 지은 후에는 우리 기술진이 자체 개발한 우주 핵심기술을 담은 부품들의 성능을 약 2년 동안 700km 상공의 우주 공간에서 실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성능검증위성에는 총 5개의 탑재체와 큐브위성 4기가 탑재되었다. 큐브위성 제작에는 조선대와 서울대, 연세대, KAIST가 참여했으며 우주 전문인력 양성의 일환으로 지난 2년간 설계부터 제작까지 각 대학의 학생들이 모든 과정을 직접 수행했다. 더미 위성과 4개의 큐브위성을 모두 사출한 이후 성능검증위성은 2년의 남은 임무기간 동안 위성에 탑재된 부품인 탑재체가 우주 공간 내에서 잘 작동하는지를 검증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누리호 발사의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첨단 과학기술 발전의 실상을 전 세계에 입증하였다. 아울러 국제우주정거장이나 화성· 소행성 탐사 등 국제 우주개발 협력에서도 한국의 위상을 더 높일 수 있게 되었다. 한마디로 명실공히 세계 7대 우주강국 진입에 성큼 다가서게 된 것이다. 그러면 누리호 발사 성공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첫째, 무엇보다도 해외 기술력에 의존하지 않는 자체 발사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우주개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발사체 개발기술은 국가 간 기술이전이 엄격히 금지된 분야다. 누리호는 설계와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 모든 과정이 국내기술로 진행되었다. 지난 2010년 3월부터 1조 9,572억 원을 들여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은 중대형 액체로켓엔진· 대형추진체· 발사대 등 발사체 관련 핵심기술을 확보한 것이다.
발사체 기술은 군사 기술에 직결되기 때문에 선진국 견제가 매우 심한 편이다. 그러기에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은 한층 더 값지다. 로켓은 극저온과 초고온을 동시에 제어해야 하는 고난도 기술이다. 누리호는 75t급 액체엔진 4개를 묶은 1단, 75t급 액체엔진 1개로 이뤄진 2단, 7t급 액체엔진 1개인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1~3단 로켓 모두 우리 기술로 개발한 최초의 발사체다.
특히, 이 가운데 1단 로켓의 경우 가장 큰 추력을 내어야 하기에 한 개의 엔진만 사용하는 2단 및 3단과는 달리 75t급 액체엔진 4개가 묶여 있다. 이 기술은 엔진 4개가 동시에 점화되고 출력과 성능이 거의 같아야 발사체를 제어할 수 있기에 실현이 매우 어렵다.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우주 발사체다. 이번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1t 이상의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중대형 액체로켓엔진을 개발해 보유한 나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위성 발사가 가능한 국가는 러시아(1957년), 미국(1958년), 유럽(프랑스 등 1965년), 중국과 일본(1970년), 인도(1980년), 이스라엘(1988년), 이란(2009년), 북한(2012년) 등 11개국이다. 그러나 이 중 이스라엘과 이란, 북한은 300㎏ 이하 위성의 발사능력만 갖추었을 뿐이다.
이와 함께 누리호 개발 과정에서 우주발사체 엔진개발 설비를 구축하고 대형 추진제 탱크 제작 기술과 발사대 구축 기술을 확보한 점도 의미가 있다. 이번 발사가 이뤄진 제2 발사대도 순수 국내기술로 구축했다. 제1 발사대는 나로호 개발 당시 러시아로부터 기본 도면을 입수한 후 국산화 과정을 거쳐 개발된 발사대였다. 이외에 초경량 대형 추진제 탱크와 초저온을 견디는 배관, 엔진 4기의 정확한 정렬과 균일한 추진력을 위한 클러스터링 기술 등도 국내 연구로 개발되었다.

둘째, 누리호 발사 성공을 통해 이제 우리도 민간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 열어나가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누리호에 들어가는 부품은 약 37만 개로 일반 자동차 약 2만 개, 항공기 20만 개에 들어가는 부품 개수를 크게 웃돈다. 이에 따라 2010년 개발이 시작된 누리호 사업에는 국내 300여 개의 기업이 참여했다. 특히, 로켓엔진과 총조립 등 핵심기술은 민간기업 주도로 이뤄졌다. 그 결과 총사업비 1조 9,572억 원의 77%인 약 1조 5,000억 원 규모가 산업체를 통해 집행된 것이다.
2014년부터 누리호 사업에 참여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총조립과 1단 추진제 탱크 개발을 맡았다.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심장으로 불리는 엔진 및 엔진부품인 터보펌프, 밸브류 제작과 함께 엔진 전체 조립까지 담당했다. 현대중공업은 45m 규모의 한국형발사체 발사대 건립을 총괄했고, 현대로템은 연소시험과 유지 보수를 맡았다. 이밖에도 한국화이바, 덕산넵코엇, 단암시스템즈, 기가알에프, 스페이스솔루션, 두원중공업, 이앤이 등이 각각 역할을 분담해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을 이끌었다.
그러나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지만, 우주산업을 우리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따라서 상용화, 산업화까지 이뤄야 진짜 성공이라는 생각으로, 민간 중심의 우주개발을 가속해 나가야만 한다.

셋째, 누리호 발사의 성공은 우리 국방력 강화에도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다른 나라에 공개하기 힘든 군사위성을 언제든 우리 힘으로 발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현재 위성 발사 대행을 하는 나라는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에 불과하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에는 우리 위성 발사를 맡길 수 없다. 우리 위성에는 미국 기술들이 들어가 있어 미국이 우주기술 수출을 금지한 중국과 인도에서는 발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주 발사체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과 본질적으로 같다는 점도 주목된다. 누리호는 ICBM과 추진 방식, 구조, 단 분리, 유도항법제어 등 대부분 기술이 일치한다. 발사 후 지상으로부터 200㎞의 대기권을 넘어간 후 목표 궤도에 진입해 인공위성을 분리하느냐, 아니면 1,000㎞의 고도까지 계속 상승했다가 지구 중력에 의해 낙하해 지상을 공격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 결과 발사체 끝에 위성을 실으면 우주 발사체, 탄두를 탑재하면 미사일이라고 불린다.

한편, 정부는 1, 2차 발사 경험에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2027년까지 누리호를 반복 발사하면서 한국형 발사체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며 신뢰성을 확보해나갈 예정이다. 반복 발사로 발사체 신뢰성을 강화하고 기술력을 고도화해 우주개발 독립 시대의 문을 더 활짝 연다는 목표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발사체 기술력을 민간으로 이전해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 견인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비전이다.
이를 위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와 동일한 성능의 기체를 2027년까지 4번 더 발사할 예정이다. 2023년과 2024년, 2026년, 2027년에 쏠 예정인데, 모두 위성을 실을 계획이다. 2차 발사의 성공으로 '누리호 개발사업'의 주요 과정은 끝났지만, 기술 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반복적인 발사에 나서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사체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하면서 체계적으로 발사체 종합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우주발사체는 날이 갈수록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우선 미국의 NASA는 2014년부터 230억 달러를 들여 '차세대 대형 우주발사체 SLS(Space Launch System)'를 개발하였다. 높이 98.1m의 인류 역사상 최강의 발사체로, 추력이 4,000t에 달한다. 아폴로 탐사선을 보낸 '새턴 5'보다 높이는 12m 낮지만, 추력은 15% 더 강해졌다. 이 발사체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일환인 유인 달 탐사선 오리온(Orion)을 달에 보낼 계획이다. 그리고 우주굴기(宇宙?起)를 내세우고 우주패권 경쟁에 뛰어든 중국도 저궤도에 140t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초대형 발사체 '창정(長征) 9호'를 개발 중이다.
또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 헤비(Falcon Heavy)'는 '팰컨 9(Falcon 9)'을 잇는 대형 발사체로 저궤도에 64t, 정지궤도에 27t의 인공위성을 투입할 수 있을 만큼 고성능이다. 아울러 스페이스X는 완전한 재사용이 가능하고 100t 이상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초대형 발사체 '스타십 발사 시스템(Starship Launch System)'을 개발 중이다. 이는 다목적 초대형 우주발사체로, 단기적으로는 팰컨 9과 팰컨 헤비를 대체하며 달과 화성 탐사, 그리고 장차 먼 미래의 행성 간 탐사계획까지 고려해 설계된 발사체이자 우주선이다.

이러한 세계추세에 뒤처지지 않도록 우리 정부 또한 누리호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난 발사체를 만들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즉 누리호 후속 사업으로 2023년부터 2031년까지 1조 9,330억 원을 투입하여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발사체 규모는 100t급 엔진 5기와 10t 엔진 2기가 탑재된 2단 발사체이다. 제작하고 있는 누리호 3호기는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사업의 1호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누리호와 차세대 발사체 최대 적재량을 비교해 보면 지구저궤도까지 보낸다고 가정했을 때 누리호는 최대 3.3t밖에 싣지 못하지만, 차세대 발사체로는 10t까지 가능하도록 한다는 목표다. 이 경우 우주관광, 대형 화물수송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달로 가는 궤도에는 1.8t, 화성으로 가는 궤도에는 1t 중량의 물체를 띄워 보낼 수 있다. 지구궤도를 벗어나 먼 우주로 특정 물체를 보낼 수 있는 확실한 능력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세대 발사체가 완성되면 2030년대 달에 착륙선을 보낼 때 쓰일 예정이다.

차세대 발사체는 누리호와 외형도 다르다. 현재 누리호는 3단이지만, 차세대 발사체는 2단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하지만 차세대 발사체가 힘은 더 세다. 발사체를 지구에서 밀어 올릴 때 핵심 역할을 하는 1단 엔진을 따져 보면 누리호 1단은 75t급 엔진 4기를 묶어 300t의 추력을 만든다. 차세대 발사체는 100t급 엔진 5기로 500t을 만든다. 특히, 차세대 발사체에는 '다단연소 사이클'이란 추진력 발생 방식이 적용된다. 다단연소 사이클은 로켓엔진에서 나온 배출가스를 다시 태워 연소 효율을 약 10% 높이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같은 양의 연료로 더 강한 힘을 낼 수 있다.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김일성 출생과 가계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김일성은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인물 중 하나이다. 그를 알아야만 분단, 6·25전쟁, 정전 후 북한군 도발, 북한 핵 문제, 대한민국 헌법 제4조에 의한 자유 통일 방향을 이야기할 수 있다. 그래서 김일성 그를 역사적 사료에 근거하여 해부한다. 출처는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 전쟁사 제1권', 전 성균관대학교 이명영 교수의 '김일성 열전', '권력의 역사', '세기와 더불어는 어떻게 날조되었나', 유순호 '김일성, 상중하', 김준협·김창순 공저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서울대 조영남 교수의 '중국의 통치체제' 등이다. 1950년대 북한 마을 전경. [사진= 국사편찬위윈회] 김일성은 ① 본명이 김성주다. 역사 자료에 등장하는 여러 명의 김일성과는 전혀 다른 인물이다. ② 중국으로 귀화한 중국인이었다. ③ 중국 공산당 당원이었다. ④ 중국 공산당 만주 무장단체 동북항일연군 대원이었다. ⑤ 중국 공산당 혁명을 위해 활동하였다. ⑥ 항일 독립운동한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다. ⑦ 1940년 10월 중국 공산당 주보중을 지휘관으로 봉대하며 소련으로 망명했다. ⑧ 귀화한 중국인, 중국 공산당 당원, 소련군 대위 신분으로 1945년 9월 19일 귀국하였다. 영국 화이트 스타 라인이 운영하던 북대서양 횡단 여객선 타이타닉호가 영국 사우샘프턴을 떠나 미국 뉴욕으로 가던 중, 1912년 4월 15일 대서양 한가운데서 빙산과 부딪쳐 침몰하는 세기적 사건이 발생하였다. 타이타닉호에 승선한 1,500여 명이 사망했던 그 날, 1912년 4월 15일 평안남도(平安南道) 대동군(大同郡) 고평면(古平面) 남리(南理)에서 한 아기가 태어났다. 그 아기 이름은 김성주(金聖柱)였다. 훗날 북한 정권 제1대 지배자 김일성(金日成)이다. 아버지는 김형직(金亨稷)이고, 어머니는 강반석(康盤石)이다. 김성주가 태어날 때 아버지 김형직은 열여덟 살이었고, 어머니 강반석은 스무 살이었다. 김형직과 강반석은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다. 김형직은 아들 김성주가 태어날 때 개신교 신자만 들어갈 수 있는 숭실중학교 학생이었다. 김형직의 장인 강돈욱(康敦煜)은 오늘의 평양시 만경대 구역인 평안남도 대동군 용산면 하리 칠곡교회 장로였다. 김형직은 장인 강돈욱에게 부탁하여 맏아들 이름을 김성주라고 지었다. 김형직 아내(김성주 엄마) 강반석 본명은 강신희였다. 이를 강돈욱이 세례명 베드로, 우리말 반석으로 개명했다. 김형직과 강반석은 아들 3형제를 두었다. 첫째는 성주였고, 둘째는 철주(哲柱), 셋째는 영주(英柱)이다. 둘째 철주는 1935년 만주에서 죽었다. 영주는 북한 정권 제2인자 자리까지 올라갔으나, 김성주 아들 김정일과의 권력 싸움에서 패배한 후, 실권이 없는 한가한 직책에 머물다, 2021년 12월 사망했다. 북한 정권은 김형직을 소련의 볼셰비키 혁명의 영향을 받은 민족해방운동의 선각자이며, 3·1운동의 조직자로 선전하고 있다. 강반석은 김형직이 3·1운동을 선도할 당시 그 뒷바라지를 한 혁명의 어머니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사실 김형직은 민족주의자였다. 1926년 공산주의자에게 돈을 내 주지 않는 등 비협조적 인물이라는 이유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했다. 김성주의 할아버지는 김보현(金輔鉉)이다. 김성주의 할머니는 이보익(李寶益)이다. 김보현과 이보익은 아들 형직(亨稷), 형록(亨祿), 형권(亨權) 3형제와 딸 구일녀(九日女), 형실(亨實), 형복(亨福) 등 3남 3녀를 낳았다. 형록은 영주(永柱), 원주(元柱), 창실(蒼實), 원실(元實) 등 6형제를 두었다. 형권은 일찍 죽었다. 김성주 증조할아버지는 김응우(金應禹)이다. 남의 집안 묘를 관리하는 묘지기였다. 북한 정권은 김성주 증조부 김응우가 1866년 대동강에 들어온 제너럴셔먼호를 격침 시킨 반미운동의 선구자로 날조하여 선전하고 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11-03 06:00
사진
시진핑, 경주서 3일간 머문 뒤 떠나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 기간 중 머물렀던 경주 코오롱호텔에 감사 인사를 남기며 3일간의 일정을 마쳤다. 2일 호텔 측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오후 3시 20분경 숙소를 떠나며 "잘 머물다 갑니다"라는 짧은 인사를 전했다. 그는 지난달 30일부터 사흘간 경주에 머물며 공식 일정을 소화했다. [경주=뉴스핌] 윤창빈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탑승한 훙치 N701이 30일 오후 경북 경주시 코오롱호텔로 들어가고 있다. 2025.10.30 pangbin@newspim.com 코오롱호텔은 객실 300여 개 규모의 대형 호텔로 시 주석 체류 기간 동안 일반 손님은 전혀 받지 않았다. 모든 객실은 중국 정부 수행단과 관계자들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9층 객실에 머물렀으며 호텔 내 식당이나 부대시설은 이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시간을 객실에서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식사 메뉴와 동선은 철저히 비공개로 유지됐다. 체류 내내 가장 강조된 부분은 보안이었다. 시 주석이 떠난 이후에도 코오롱호텔 주변은 여전히 긴장감이 감돌았다. 현장에는 경찰특공대가 배치돼 있었고, 장갑차가 주차장에 대기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호텔 진입로에는 철제 펜스와 가림막이 이중으로 설치돼 외부에서는 차량의 이동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 진입로 양옆에는 100미터가 넘는 구간에 가림막이 이어졌고 출입 시에는 엑스레이 짐 검사와 이중 신체 검색이 이뤄졌다. 로비 유리창도 모두 차단막으로 가려져 외부 시야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였다. 호텔 관계자는 "직원들조차 시 주석을 직접 볼 수 없었다"며 "호텔 내에서도 다른 사람과 마주치지 않도록 동선이 사전에 철저히 조정됐다"고 전했다. 실제 한국 경찰과 중국 경호 인력 등 약 100여 명이 호텔 내부 곳곳에 배치돼 24시간 경계 태세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오롱호텔[사진=코오롱 호텔·리조트] mkyo@newspim.com 2025-11-02 10:59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