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카드사 결제앱으로 다른 카드사 등록·결제
이용내역도 조회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 제고
우리·현대카드도 서비스 실시 일정 논의 중
[서울=뉴스핌] 이은혜 기자=카드사들의 '오픈페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신한카드, 하나카드, KB국민카드를 시작으로 롯데카드, BC카드는 내년 1분기에, NH농협카드는 하반기에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하며 이용범위도 온라인까지 확대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여신금융협회는 오는 22일부터 신한·하나·KB국민카드가 오픈페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오픈페이는 카드사간 앱카드 상호연동 사업으로, 고객이 1개의 카드사 결제앱으로 카드사 구분없이 모든 카드를 간편하게 등록, 사용·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다.
다만, 오픈페이는 참여한 카드사에 한해 사용할 수 있다. 신한·하나·KB국민을 시작으로 내년 1분기에는 롯데카드(2월), BC카드(3월), NH농협카드(하반기)가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하며 이용범위도 온라인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우리카드와 현대카드도 추후 참여한다.
카드업계는 고객 편의성과 결제앱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오픈페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여신금융협회와 카드업계는 이번 오픈페이 서비스를 통해 복수 카드사 결제앱을 설치해서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돼 고객 편의성이 개선되고 카드사 결제앱의 범용성 확대에 따른 결제앱의 경쟁력이 제고될 것으로 봤다.
이용방법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아이폰의 앱스토어(iOS)에서 기존 카드사 결제앱을 업데이트해 이용할 수 있다. A사 결제앱에서 등록할 카드사(B사)를 선택하고, 약관동의 및 본인인증을 거쳐 카드를 등록한 뒤, 결제 시 A사의 결제앱을 실행해 결제하고 같은 앱에서 B사 카드의 사용내역도 조회할 수 있다.
다만, 결제방식(NFC·MST·바코드·QR)별로 이용 가능 가맹점이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각 사 결제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MST는 신용카드 정보를 마그네틱 결제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기술이며, NFC는 근거리에서 신용카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여신협은 우리카드, 현대카드 등 추가 참여를 원하는 카드사와 서비스 실시 일정을 논의 중이다.
chesed7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