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위드코로나' 중국, 춘제 기간 소비 폭발

기사입력 : 2023년01월25일 09:49

최종수정 : 2023년01월25일 09:49

관광지 식당에 인파 몰려들어
박스오피스 2019년수준 회복

[서울=뉴스핌] 조용성 기자 = 지난달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한 중국에서 춘제(春節) 기간(1월21일~27일) 소비가 폭발했다. 

중국 각지의 관광지에서 인파가 몰려들어 입장권 매진 사례가 속출했으며, 식당가에는 손님이 빼곡히 들어찼고, 영화관 박스오피스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을 목전에 두고 있다고 현지 매체들이 25일 일제히 보도했다. 

중국 전역의 유명 관광지들은 밀려드는 관광객으로 입장권 매진 사태를 기록했다. 윈난(雲南)성 다리(大理)의 지주(雞足)산, 윈난성 리장(麗江)의 옥룡설산, 저장(浙江)성 선셴쥐(神仙居), 쓰촨(四川)성의 얼랑산(二郎山)과 어메이산(峨眉山) 등은 21일 관광객이 몰려들자, 정오가 넘은 시간에 입장권 판매를 중단했다. 이후 홈페이지와 위챗 공지를 통해 온라인으로만 입장권을 판매하는 예약제로 전환했다.

이들 관광지는 27일까지 입장권이 모두 매진된 상황이다. 상하이시의 유명 관광지인 예원(豫園)은 22일 하루 동안 방문객이 10만 명을 넘어서며 단숨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춘제 기간 외식 소비도 폭발했다. 베이징시 상무국의 발표에 따르면 베이징의 유명 레스토랑 체인 19곳의 매출이 지난해 대비 110% 증가했으며, 배달매출 역시 85% 증가했다. 식당마다 긴 줄이 늘어서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베이징의 레스토랑 체인인 바누(巴奴)훠궈는 21일 하루에만 테이블당 평균 9회전을 넘어서는 신기록을 세웠다.

유명 레스토랑인 하이디라오(海底捞) 역시 거의 모든 점포가 만석을 기록하고 있으며, 대기 고객들로 긴 줄이 늘어섰다. 이같은 현상은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중국 대부분의 도시에서 벌어지고 있다.  

중국 산시성 시안의 랜드마크인 시안성벽에 몰린 현지 관광객들 모습.[신화사=뉴스핌 특약]

영화관 박스오피스 역시 코로나19 이전을 회복했다. 중국 온라인 티켓 판매 플랫폼 마오옌(貓眼)에 따르면 1월 24일 20시 기준으로 춘제 기간 박스오피스 50억위안을 돌파하며, 춘제 연휴를 3일 남겨둔 시점에 이미 2019년의 59.05억위안에 육박했다.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영화 '만강홍(滿江紅)'이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영화는 금나라의 침입에 맞서 싸운 남송(南宋)의 무장 악비(웨페이·岳飛)가 지은 사(詞) '만강홍'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또한 SF 재난 블록버스터인 '유랑지구2'가 박스오피스 2위를 달리고 있다. 최고 권위의 SF 문학상인 휴고상을 받은 류츠신(劉慈欣)의 단편소설이 원작이며, 전작은 2019년 개봉해 흥행을 기록했다.

한편, 중국 교통운수부는 올해 춘윈(春運, 춘제 특별운송기간) 기간 연인원 20억9500만명이 이동, 작년보다 99.5%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춘윈은 지난 7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 40일간이다.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