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정치

속보

더보기

[2023 양회] '시진핑 3기' 새 지도부 출범...리창 총리·자오러지 전인대위원장

기사입력 : 2023년03월06일 16:43

최종수정 : 2023년03월06일 16:43

시진핑 국가주석 3연임 확정하며 당·정·군 '장악'
국무원 총리 등 국가 수뇌부 모두 '시자쥔(習家軍)'
대대적 개편으로 1인 집권 체제 강화 모색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본격 막을 올렸다. 4일 개막한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은 11일까지, 5일 시작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13일까지 개최된다.

올해 양회는 시진핑 3기 지도부가 공식 출범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받았다. 오는 10일 전인대 3차 전체회의에서 시 주석의 3연임이 공식화할 예정이다.

전인대 대표들이 거수로 국가주석과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선출하는 형식이지만 시 주석의 3연임은 사실상 확정된 상태다. 지난해 10월 말 열린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시진핑 주석은 당 총서기 및 당 군사위원회 주석에 재선출됐다. 당 대회에서 당 1인자 자리를 확보한 데 이어 이번 전인대에서 정부와 군까지 장악하게 된다. 

[베이징 신화사=뉴스핌] 주옥함 기자=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가운데)이 참석하고 있다.2023.03.06 wodemaya@newspim.com

3연임이 확실한 상황에서 이목은 국가주석 연임에 대한 만장일치 여부에 쏠린다. 시 주석이 처음 국가주석에 선출됐던 2013년 전인대 당시 찬성 2952표, 반대 1표, 기권 3표가 나왔었다. 이후 5년 뒤인 2018년에는 전인대 대표 2970명 모두 만장일치로 시 주석을 국가주석과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선출했다.

이번 전인대에서는 국무원 총리와 부총리, 국무위원을 비롯해 각 부처 수장과 전인대 수뇌부 인선도 이뤄진다. 시 주석의 최측근, 이른바 '시자쥔(習家軍)'으로 꾸려진 차기 지도부 역시 지난 당 대회에서 윤곽을 드러냈고, 12일 공식 확정된다.

'2인자'인 국무원 총리에는 당 권력 서열 2위인 리창(李强)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시자쥔'으로, 시 주석이 2002~2007년 저장(浙江)성 당 서기로 재임하던 시절 비서실장격인 판공청 주임으로 일하며 인연을 맺었다. 시 주석이 2012년 집권하면서 저장성 성장, 장쑤(江蘇)성 당서기, 상하이(上海) 당서기 등 요직을 거쳤다.

입법을 책임질 신임 전인대 상무위원장은 서열 3위인 자오러지(趙樂際)가, 신임 정협 주석은 서열 4위인 왕후닝(王滬寧)이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 부주석에는 한정(韓正) 전 상무부총리가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부총리로는 딩쉐샹(丁薛祥)·허리펑(何立峰)·류궈중(劉國中)·장궈칭(張國淸) 4명이 언급된다. 부총리 4인방 중 딩쉐샹은 지난 10년간 시 주석의 비서실장 격인 국가주석 판공실 주임을 맡은 뒤 지난해 당 대회에서 상무위원회에 진입했다. 상무부총리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허리펑은 대표적 경제 전문 관료로, '경제 책사'로 불렸던 류허(劉鶴) 부총리의 뒤은 '경제 차르'가 될 것으로 일컫어진다. 시 주석의 해외 동반 때 옆자리를 지키는 인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허리펑이 부총리 겸 인민은행 당서기에 오를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류궈중과 장궈칭은 기술관료 출신이다.

국무위원으로는 친강(秦剛)과 왕샤오훙(王小洪)·리상푸(李尚福)·우정룽(吳政隆)·선이친(諶貽琴) 등이 거론되고 있다. 친강은 얼마 전 외교부 장관으로 취임했고, 왕샤오훙과 리상푸, 우정룽은 각각 공안부장과 국방부장, 국무원 비서장을 겸임한다.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2023.03.06 hongwoori84@newspim.com

한편 이번 전인대에서는 국무원 조직 개혁안이 다뤄진다. 집권 3기의 시진핑 주석에게 권력이 더욱 집중될 수 있도록 당의 지배력을 강화하고자 일부 부처를 국무원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홍콩 명보(明報)가 보도했다.  

명보는 '중앙내무위원회(가칭)'가 출범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공안부와 국가안전부를 국무원에서 분리시켜 중앙내무위원회로 통합, 공산당 직속 기구로 두고, 공안과 방첩·대테러·이민·호적·교통 등의 업무를 관장하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현재 국무원 산하에 있는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을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의 홍콩·마카오 공작판공실로 개편하고, TV와 라디오 방송 등을 총괄 관리하는 국가광파전시총국 역시 국무원 직속 기구에서 당 중앙선전부로 통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명보는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민은행과 금융 규제 기관, 국유 금융기관 등의 정책 및 인사를 총괄하는 '중앙금융공작위원회' 부활 가능성도 점쳤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