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특파원

속보

더보기

뉴욕 프리뷰, 기업실적 호조 속 저가 매수에 상승…리프트↑·인튜이티브 머신스↓

기사입력 : 2024년02월14일 21:06

최종수정 : 2024년02월14일 21:06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 증시 개장 전 주요 주가 선물이 14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전날 실망스러웠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뒤로 하고 다시 기업 실적과 경제 펀더멘털에 주목하며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미국 동부 시간 기준 이날 오전 6시 56분 기준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장보다 74.00포인트(0.19%) 상승한 3만8407.00에 거래되고 있다. E-미니 S&P500 선물은 18.25포인트(0.37%) 오른 4989.50, E-미니 나스닥100 선물은 92.00포인트(0.52%) 전진한 1만7768.75를 각각 가리켰다.

전날 뉴욕 증시는 미국의 연초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아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지면서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1.35%,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1.37%, 1.80% 후퇴했다. 전날 다우지수의 낙폭은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컸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시장 참가자들은 5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이번 주 초 63%보다 낮은 41%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장 마감 후 발표된 기업 실적은 다시 주식시장에 낙관론을 불러왔다. 차량공유업체 리프트는 예상보다 강한 지난해 4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개장 전 리프트는 20.77% 상승 중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US뱅크 웰스 매니지먼트의 테리 샌드벤 수석 주식 전략가는 1월 CPI 보고서가 연준의 금리 인하 개시 시점을 올해 하반기로 옮기더라도 주식시장 랠리가 끝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샌드벤 전략가는 "화요일(13일) 후퇴는 밸류에이션을 펀더멘털과 다소 더 일치하도록 만들었다"며 이로써 투자자들이 더욱 합리적인 밸류에이션에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판단했다.

다만 샌드벤 전략가는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실적이 더 높은 주가를 지지하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이것이 (주식 강세의) 끝의 시작이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JP모간 자산운용의 휴 김버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지난 며칠간 채권시장의 가파른 움직임에 대한 주식시장의 지지력에 놀랐다"며 "이것은 경제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 해주진 않지만, 시장의 포지션을 나타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나무랄 데 없는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하락)에 매우 흥분한 상태"라고 판단했다. 즉 성장 약화 없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향하는 것을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얘기다.

개장 전 특징주를 보면 전날 약세를 보였던 대형 기술주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하고 있다. 애플은 0.30%,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는 0.87%, 1.44% 각각 상승했다. ARM 역시 6.68%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실적을 공개한 로빈후드 역시 14.36%의 상승 폭을 기록 중이다. 다만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달 착륙선 발사를 최소 하루 연기하기로 하면서 6.80% 급락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2년간 최고치로 오르면서 관련주도 강세다. 마라톤 디지털과 코인베이스는 12.75%, 7.38% 상승했고 라이어트 역시 9.20% 올랐다. 이날 비트코인은 장중 5만1000달러를 넘기며 지난 2021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의 시가총액도 2021년 말 이후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넘겼다.

전날 급등했던 미 국채 금리는 하락 중이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전장보다 2.3bp(1bp=0.01%포인트) 내린 4.293%를 기록했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은 4.2bp 하락한 4.614%를 나타냈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미 달러화는 약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날보다 0.07% 내린 104.88을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0.03% 내린 1.0705달러, 달러/엔 환율은 0.11% 하락한 150.61엔을 각각 가리켰다.

유가는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7센트(0.09%) 내린 77.80달러를 기록했고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는 1센트(0.01%) 오른 82.78달러를 나타냈다.

이날 주목할 만한 이벤트로는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공개 발언이 있다. 

mj722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