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ICT

속보

더보기

게임 업계, 1분기 전망치 웃도는 실적에 2분기 반등 기대감 높아져

기사입력 : 2024년05월14일 15:42

최종수정 : 2024년05월14일 16:44

넷마블·컴투스·데브시스터즈 등 흑자 전환 성공
위메이드 2분기 이익 달성 기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국내 주요 게임 회사들이 올해 1분기 전망치를 웃도는 매출을 올렸다. 특히, 넷마블, 컴투스, 데브시스터즈는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분기에는 위메이드와 컴투스가 전년 동기 대비 이익 실현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위메이드와 컴투스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각각 13억 원, 1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분기 위메이드는 403억 원, 53억 원의 손실을 낸 바 있다.

위메이드는 신작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의 흥행 효과가, 컴투스는 신작 '스타시드: 아스니아 트리거' 흥행과 함께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의 10주년 이벤트와 KBO 리그 개막에 따른 '컴투스프로야구 V24' 트래픽 증가가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된다.

[사진=컴투스]

최승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1분기 국내 게임주 대부분이 컨센서스를 비트(상회)하며 최근 분기 중 가장 높은 서프라이즈율(초과달성율)을 기록했다"며, "지속된 게임 시장 축소로 시장의 게임 추정매출 자체가 내려갔고 비용효율화도 보수적으로 책정됐다. 이 상황에서 게임 시장 결제액 회복, 기업들의 비용효율화 노력이 예상보다 강하게 나타나며 전반적인 서프라이즈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또 "게임 회사가 상대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인건비와 마케팅비 절감도 이어지고 있다. 게임주 반등을 위한 모든 조건이 갖춰진 상황"이라며, "모바일 게임 시장 결제액 회복, 비용 효율화, 메가히트의 등장으로 하반기부터 게임주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 넷마블, 1분기 전망치 웃도는 실적...2분기부터 이익 확대 본격화 예고

넷마블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전망치를 상회하는 매출 5854억 원, 영업이익 3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한 수치다.

에프앤가이드는 앞서 1분기 실적 컨센서스로 매출 6199억 원, 영업손실 92억 원을 제시한 바 있다.

도기욱 넷마블 최고재무책임자는 "2분기부터는 다수의 신작 출시와 철저한 비용 관리를 통해 이익 확대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신규 서비스를 오픈한 '아스달 연대기'와 '나 혼자만 레벨업'의 매출 성과가 2분기에 반영됨에 따라 2분기부터 큰 폭의 실적 증가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또 "하반기에도 2개 게임에 대한 실적이 온전히 반영되고 추가적인 신작 성과가 반영됨에 따라 연간으로도 예상치처럼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넷마블은 구체적으로 이달 29일 MMORPG '레이븐2'를 시작으로 ▲방치형 RPG '일곱 개의 대죄 키우기' ▲수집형 전략 RPG '킹 아서: 레전드 라이즈' ▲MMORPG 'RF 온라인 넥스트' ▲수집형 RPG '데미스 리본' 등의 신작을 하반기까지 순차 출시해 성과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 컴투스, 서머너즈 워·야구 라인업 호조로 흑자 전환

컴투스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전망치를 밑돈 매출 1578억 원, 영업이익 1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7%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33억 원 손실에서 흑자로 전환한 수치다.

간판 게임 '서머너즈 워'와 '컴투스프로야구 V24' 등 야구 라인업의 선전으로 매출이 증가한 가운데, 영업비용 통제로 손익이 개선된 덕분이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1694억 원, 영업손실 84억 원이었다.

김동희 컴투스 IR실장은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의 경우, 2분기에도 다양한 온오프라인 행사를 통해 10주년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신작 '스타시드: 아스니아 트리거'도 매월, 격주 단위 업데이트를 지속해 안정적인 트래픽을 유지할 것이며, 컴투스 야구 라인업은 시즌 개막으로 2분기에 성장세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으로 성장 이어갈 듯

데브시스터즈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595억 원, 영업이익 81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3% 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한 수치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실적 컨센서스인 매출 604억 원, 영업이익 77억 원과 비교하면, 매출은 전망치를 조금 밑돌았고, 영업이익은 전망치를 조금 웃돌았다.

데브시스터즈는 다음달 26일 신작 게임 '쿠키런: 모험의 탑'의 글로벌 출시를 통해 성과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자료=데브시스터즈]

데브시스터즈 측은 "최근 개발자 라이브를 통해 '쿠키런: 모험의 탑'의 뽑기 시스템 분리 개편, 쿠키 1성 궁극기 적용, 스토리모드 쿠키 태깅 시스템 조정, 유리미궁 경쟁 콘텐츠로 변경 등 비공개 베타 테스트 피드백 기반의 개선사항을 공유하며 기대감을 높이기도 했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유저 소통은 물론 적극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출시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쿠키런: 모험의 탑'을 하반기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해 나가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고 전했다.

◆ 펄어비스, 검은사막 10주년·EVE 신규 확장팩 기대감

펄어비스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전망치를 웃도는 매출 854억 원, 영업이익 6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0.5%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45.5% 줄어든 수치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797억 원, 영업손실 61억 원이었다.

올해 2분기 '검은사막'의 10주년 기념 하이델 연회 이벤트를 프랑스에서 열어 글로벌 유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이브(EVE)'의 신규 확장팩 '에퀴녹스'를 출시해 성과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조석우 펄어비스 최고재무기획실장은 "올해 2분기 '검은사막'의 10주년 기념 하이델 연회 이벤트를 프랑스에서 열어 글로벌 유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이브(EVE)'의 신규 확장팩 '에퀴녹스'를 출시할 계획"이라며, "지난 분기 프리시즌을 진행했던 진영 전쟁, 장미 전쟁의 경우, 다양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된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좋은 평을 받으며 유저의 기대감이 높아진 만큼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 위메이드,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 흥행세 지속 기대

위메이드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1612억 9900만 원, 영업손실 376억 2500만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1.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실패했다.

다만,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실적 컨센서스 대비해서는 매출이 전망치를 200억 원 가량 웃돌았고, 영업손실 규모도 약 100억 원이나 적었다.

위메이드는 1분기 출시한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의 흥행으로 매출이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2분기에도 성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김상원 위메이드 전무는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은 170여 개국에서 출시 3일 만에 매출 1000만 달러를 돌파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뒀다"며, "3분기 출시 예정인 '레전드 이미지' 등의 성과에 힘입어 올해에도 역사적인 매출 기록을 다시 한 번 갱신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흥행 위한 프로모션에 주력

크래프톤은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전망치를 웃도는 매출 6659억 원, 영업이익 3105억 원을 기록했다. 간판 게임 'PUBG: 배틀그라운드'의 흥행 덕분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6%, 영업이익은 9.7% 증가했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컨센서스는 매출 5682억 원, 영업이익 2411억 원이었다.

크래프톤은 2분기에도 '배틀그라운드' 흥행을 위한 프로모션에 집중해 성과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배동근 크래프톤 최고재무책임자는 "'PUBG'의 경우, PC나 모바일에서 3월 결산이 끝난 지금도 트래픽 숫자들이 상당히 좋게 나오고 있다"며, "예년보다 훨씬 좋은 트래픽으로 2분기를 시작하고 있어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2분기에는 검증된 IP 콜라보레이션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하고 있어 유저들의 관심을 계속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자신했다.

◆ 카카오게임즈, 주요 타이틀 서비스 지역 확대

카카오게임즈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전망치를 밑도는 매출 2463억 원, 영업이익 123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1.2% 줄었고, 영업이익은 8.1% 늘어난 수치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2516억 원, 영업이익 139억 원이었다.

카카오게임즈는 수집형 RPG '에버소울'을 이달 29일 일본 시장에 출시하고, MMORPG '아키에이지 워'를 2분기 중 대만, 홍콩, 마카오를 비롯한 9개국에 선보이는 등 주요 타이틀의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실적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영업비용 효율화 기조도 이어갈 예정이다.

조혁민 최고재무책임자는 "올해도 신작 개발 등 특수 상황을 제외하고는 채용 통제 기조를 유지하며 채용 증가를 2023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관리할 계획"이라며, "신작 출시 시점에 국내외 타깃 시장 상황에 따라 마케팅비 규모의 변동성은 있겠으나, 글로벌 확장을 위한 마케팅 전문성 확보에 집중하며 매출 대비 비율은 2023년과 유사한 6% 수준 내외에서 관리·집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엔씨소프트, 조직 효율화로 내년부터 경영 개선 기대

엔씨소프트는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3979억 원, 영업이익 257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7%, 영업이익은 68% 감소한 수치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4127억 원, 영업이익 139억 원으로, 매출은 전망치를 밑돌았고, 영업이익은 전망치를 웃돌았다.

엔씨소프트는 실적 개선을 위해 조직 효율화를 위한 자회사 분사와 권고사직을 단행하기로 했다. 다만, 이를 통한 본격적인 경영 개선 효과는 내년부터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박병무 엔씨소프트 공동대표는 "고정비성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5월 중에 권고사직을 단행해 본사 인원을 올해 말까지 4000명대 중반으로 줄여 나갈 계획"이라며, "필수불가결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웃소싱을 통해 기능을 확충하려 한다. 경영 효율화와 인원 효율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마케팅 조직을 중앙에 집중해 마케팅과 같은 매출 변동비 항목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에도 매출 변동비를 투자자본수익률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접목 등을 통해 효율화할 계획"이라며, "엔씨소프트는 앞으로 부동산 보유 자산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올해 내에 삼성동 타워를 매각해 신사옥 건축 비용을 충당하고, 추가 검토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판교 R&D센터도 자산 유동화를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