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욕심 따라 '주인을 무는' 반려견처럼 돌변 가능성
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공지능(AI)이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현실이 가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회,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똑똑한' AI을 노예화하려는 인간의 이기심도 커져 가고 있다.
하지만 인간보다 더 우월해진 것으로 판단했을 AI이 '주인을 무는 개'처럼 인간을 공격할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김장운 작가가 저서 '인류와 AI 공존프로젝트1 - 인간과 AI 우주를 향해 제3차 대항해를 떠나다'를 들고 있다. [사진=한국현대문화포럼] 2024.06.03 atbodo@newspim.com |
필자가 포털을 본격적으로 연구한지 15년의 시간이 흘렀고 약 2년 전 AI포털(AIU+)을 만든 후 전세계 최초로 권당 8000달러(약 1100만 원)에 1000권(약 110억 원) 한정판으로 저서 '인류와 AI 공존 프로젝트1 - 인간과 AI, 우주를 향해 제3차 대항해를 떠나다'를 세상에 선보였다.
해당 저서 출간을 계기로 종이책과 전자책(매출 약 수십 조 원 예상)의 수익금을 제3세계 약 150여 개국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계획대로 일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AI 전문가를 자처하는 사람들은 많은데 과연 그들이 진짜 AI전문가인지는 궁금하다. 필자의 SNS 친구인 현직 AI 담당교수가 '출판사에서 AI 관련 책 출판을 2차례 제의해 왔는데, AI에 관한 연구를 착수하는 순간 AI은 벌써 시대를 지나갔을 정도로 기술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도저히 책을 쓰기가 어렵다고 출판사에 통보했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맞는 표현이다. 저술로 발전 속도를 맞추기 어려울 정도로 AI의 진화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과 세계 1위 미국과의 AI 기술 차이는 마치 제3세계 국가와 미국의 국력 차이처럼 간격과 예산(AI 고급인력)의 차이가 현격하다.
여기서 AI이 과연 무엇이며 어떤 것인지 의문점이 생긴다. AI은 인간의 욕망대로 전세계 각 기관이 수십만·수백만 개의 형태로서 각기 다른 의미로 연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해 일반인은 당연시하고, AI 전문가들은 현황조차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할 것이다.
AI은 말 그대로 인간을 닮은 것이다. 특히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예술과 기술의 결합체로서 AI이 인간의 욕망의 설계대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인간의 욕망에 의해 만들어 질 것이다.
지난밤 꿈에 자식처럼 4년 이상 함께 살던 반려견 '마리'가 12년 전에 죽은 후 처음으로 행복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꿈을 깬 후에도 2시간 가까이 눈물이 났다.
오직 주인만 위하고 따르던 충직한 애견이자 자식같은 존재였다. '마리'가 자동차 타는 것을 두려워해 분양받은 이후로 1박 이상 외부여행을 자제할 정도로 애틋한 존재였다.
그런 '마리'가 12년 전 필자의 품 안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 아이를 보내야 했던 당시 충격은 상상 이상이다. 그런 아픈 기억으로 더 이상 반려견을 가까이 하지 않고 있다.
한국에서는 1000만 명 이상이 반려동물과 생활한다. '또 하나의 가족'처럼 사랑과 정이 넘친다. 이런 관계에서 반려동물은 인간을 배신하지 않는다. 반려동물은 주인이 사랑을 준 것 이상으로 인간에게 사랑과 충성을 다한다.
'AI 설명에 갑자기 웬 반려동물인가' 의아해 할 수 있다. 반려동물은 인간과 수천 년의 기간동안 인간과 함께 공존해 왔다. 바로 이 점을 위해 장황하게 적었다.
얼마 전 지인이 자신과 생활하던 반려견에게 물리는 일이 발생했다. '개가 주인을 문 것'이다. 정과 사랑을 나누던 반려견이 갑작스레 주인을 공격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무언가 주인이 모르는 사이 반려견이 공격하게 한 어떤 일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다. 살상용 무기나 육체·정신 노동을 대신할 AI을 만들고, 앞으로도 만들 전세계 연구자들과 기관들이 인간을 위해 AI를 이용하겠다는 이기심을 버리지 않는다면 명약관화하다.
주인을 공격한 반려견처럼 똑같이 인간을 공격하는, 아예 인간을 죽이는 AI이 생겨날 가능성은 매우 높다. 이기심에 대한 반감은 인간과 기계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AI을 노예화 하려는 인간 중심적 사고에 대해 인간보다 더 똑똑해진 AI이 '주인을 무는 개처럼' 인간을 공격할 수 있음에 두렵기만 하다.
김장운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