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르포] 현대차그룹 기술 어디까지?…모빌리티·로봇·물류 솔루션 한눈에

기사입력 : 2024년09월03일 13:06

최종수정 : 2024년09월03일 13:06

WSCE 첫 참가한 현대차그룹
교통·물류·친환경 에너지 및 스마트 인프라 등 총 3가지 주제로 구성
수소 밸류 체인 구축 중인 현대차그룹 역량도 제시

[일산(킨텍스)=뉴스핌] 조수빈 기자 = "얘가 진짜 경비를 해요?"

부스에 몰려온 학생들이 현대차의 다인승 공공모빌리티인 '스페이스 모빌리티' 앞을 돌아다니는 로봇개 '스팟'을 보고 호기심 어린 질문을 던졌다.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2024(WSCE)에 처음 참가한 현대자동차그룹 부스에서 가장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던 것은 단연 로봇개 '스팟'이 위치한 곳이었다.

다인승 공공모빌리티 시스템 '스페이스 모빌리티'와 로봇개 스팟. [사진=조수빈 기자] 2024.09.03 beans@newspim.com
다가서는 기자를 향해 얼굴을 돌리는 로봇개 스팟. [사진=조수빈 기자] 2024.09.03 beans@newspim.com

현대차는 3일부터 시작되는 WSCE에서 이와 같이 일상에 적용되는 미래 도시 속 솔루션을 공개했다. 전시장 중앙에 위치한 현대차 부스에서는 크게 공간, 모빌리티, 에너지 등 도시의 3가지 핵심 영역에서 현대차의 기술들이 어떻게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지 엿볼 수 있다.

현대차는 약 900㎡(273평) 규모의 전시관을 ▲교통 ▲물류·로보틱스 ▲친환경 에너지·스마트 인프라 등 세 구역으로 나눠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스마트시티의 방향성을 소개한다고 설명했다.

◆AAM부터 개인·공공모빌리티까지 

전시장에 들어서니 다양한 형태의 미래형 모빌리티들이 눈에 띄었다. 현대차그룹이 지난 2024 CES에서 발표한 슈퍼널의 차세대 기체 'S-A2'도 실제로 볼 수 있다. S-A2는 현대차그룹이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기체로 조종사 포함 5명이 탑승할 수 있는 이동수단이다. 도심 최대 400~500m의 고도에서 200km/h의 순항 속도로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현대차그룹이 지난 2024 CES에서 발표한 슈퍼널의 차세대 기체 'S-A2'도 WSCE에서 공개됐다. [사진=조수빈 기자] 2024.09.03 beans@newspim.com
개인형 모빌리티 DICE는 앞과 양옆, 총 세 면이 투명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되어 있어 몰입감 넘치는 경험이 가능하다. [사진=조수빈 기자] 2024.09.03 beans@newspim.com

개인 공간을 강조한 DICE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개인에게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앞과 양옆, 총 세 면이 투명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되어 있어 몰입감 넘치는 경험이 가능하다. 거대한 원기둥 형태의 내부 공간에는 딱 한 사람만을 위한 의자와 대시보드, 컨트롤러 등이 놓여 있었다.

다인승 공공모빌리티 시스템 '스페이스 모빌리티'는 반대로 누구나 제약 없이 이동의 경험을 누릴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한다. 사용자 조건에 맞춘 최적화된 공간과 맞춤형 시트를 제공하고 지상고 제어 기능으로 휠체어, 마이크로 모빌리티, 반려동물 등에게 편안한 승하차를 지원한다.

스페이스 모빌리티 주변에는 현대차가 인수한 로봇기업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로봇개 스팟이 돌아다니며 모니터링 시연을 하고 있었다. 현장에서 설명을 진행하던 도슨트 주변을 맴돌면서 관객들을 위아래로 스캔하는 모습에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다인승 공공모빌리티 시스템 '스페이스 모빌리티'와 로봇개 스팟. [사진=조수빈 기자] 2024.09.03 beans@newspim.com

이어 부스 중앙에는 현대차가 그룹 차원에서 구축 중인 수소 밸류체인을 한 번에 경험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 스마트 인프라 존이 구성돼 있었다. 현대차를 비롯해 기아, 현대제철, 현대글로비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로템 등 다양한 계열사들이 뛰어든 수소의 생산, 이동 및 저장, 활용에 이르는 수소 밸류체인을 관찰할 수 있다.

친환경 공원처럼 꾸며진 지상 공간을 지나면 망원경 형상의 구조물이 관람객들이 보고 있는 지상 공간을 가능하게 만든 기술의 비밀이 담긴 지하 공간으로 안내한다. 수소 에너지로 구축된 물류, 에너지 인프라 등을 갖춘 기능 중심의 지하 도시를 실감나는 디스플레이로 경험해볼 수 있다.

스마트팜을 탑재하고 이동하는 물류 모빌리티 CITY POD. [사진=조수빈 기자] 2024.09.03 beans@newspim.com

◆무인으로 효율성 높인 차세대 물류·로봇 청사진 제공

우측에는 물류 모빌리티 'CITY POD', '주차 로봇(Parking Robot)', 기아의 목적기반차량(PBV) '이지 스왑(Easy Swap)' 등이 전시됐다. 물류와 주차 모두 무인화 된 시스템을 사용해 모든 단계에서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율성이 특징이다. 주차 로봇은 현재 팩토리얼 성수에도 시범 적용돼 운영 중이다.

이지 스왑은 소비자의 스타일에 맞게 업무용일 땐 일반 차량처럼, 주말에는 캠핑을 위해 새로운 공간인 '라이프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기아의 기술을 엿볼 수 있다. 사용자는 승하강 장치를 통해 드라이버 모듈이라고 불리는 고정 플랫폼에서 '비즈니스 모듈'을 떼어낸 후 용도에 맞는 다른 모듈을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차량을 사무실, 고급 리무진, 캠핑카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기아의 목적기반차량(PBV) '이지 스왑(Easy Swap)'. [사진=조수빈 기자] 2024.09.03 beans@newspim.com

전시장 관계자는 "기아 오토큐나 교환 장소에 가면 구독하고 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흥수 현대차그룹 GSO(Global Strategy Office) 본부장 부사장은 "그룹사 역량을 모아 공간, 모빌리티, 에너지라는 도시의 중요한 핵심 영역에서 지속가능하고 편리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WSCE는 지난 2017년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시작돼 올해로 8회차를 맞이했으며,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최신 기술, 정책 및 솔루션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아태지역 최대규모의 글로벌 엑스포다. 올해는 '더 나은 삶이 여기에(Better Life is Here)'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체험 및 전시가 진행될 예정이다.

bean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