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AI 블록과 디지털 워크포스에 집중
CRM과 개발 제품의 기록적인 신규 계정 수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긍정적 전망
이 기사는 2월 11일 오후 4시5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① AI 혁신으로 도약하는 먼데이닷컴의 미래 전략>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먼데이닷컴(종목코드: MNDY)이 2025년 AI 노력을 두 배로 늘리겠다는 포부에 플랫폼 사용자들과 투자자들의 관심과 기대가 배가됐다. 회사가 플랫폼에 AI를 통합한 이후 먼데이닷컴 플랫폼 사용자들은 약 7000만건의 AI 작업을 수행했다. AI 통합은 기술 발전을 통해 사용자 경험과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려는 회사의 노력을 보여준다.
로이 만과 에란 진만 공동 CEO는 "2025년에 AI 블록, 프로덕트 파워업, 그리고 새로운 디지털 워크포스인 AI 에이전트에 중점을 두고 AI 노력을 두 배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우리는 AI가 고객의 워크플로를 혁신하고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 |
먼데이닷컴 로고 [사진=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먼데이닷컴 플랫폼의 AI 사용량은 2024년 4분기에 급격히 증가했다. 전 분기들에 비해 크게 증가한 약 1000만건의 AI 작업이 보고됐다. 회사는 현재 AI 사용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대신 사용량 기반 가격 모델을 선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AI 블록에 대한 사용량 기반 가격 책정 도입이 무료 사용자의 유료 전환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본다.
윌리엄 블레어의 아르준 바티아 애널리스트는 "먼데이닷컴은 강력한 4분기 실적을 달성했으며 시장 예상을 웃도는 2025년 전망을 내놓았다"면서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논쟁이 일었지만, 이번 실적을 통해 투자자들의 우려가 대거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고 리서치 보고서에서 밝혔다.
실적 발표에 앞서 지난 3일 TD 코웬은 먼데이닷컴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도 목표주가를 325달러에서 30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먼데이닷컴의 핵심 프로젝트 관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11월에 약화되기 시작돼 12월까지 그 흐름이 지속됐다면서 EMEA 지역의 시장 상황과 수요 감소를 반영해 목표주가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애널리스트는 EMEA 지역의 수요 약화가 회사의 2025회계연도 가이던스에 미칠 영향을 반영해 성장률 추정치를 27%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 내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회사의 고객관계관리(CRM) 제품에 대한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먼데이닷컴의 CRM 부문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지난 한 해 동안 CRM 및 개발 제품 모두에서 기록적인 신규 계정 수를 기록했다. 이러한 성과는 혁신과 고객 니즈를 충족하는 회사의 역량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 |
먼데이 CRM [사진=먼데이닷컴 홈페이지] |
10일 실적 발표 이후 TD 코웬의 데릭 우드 애널리스트는 "업마켓(up-market, 고급품)의 견인이 매우 고무적이며, 먼데이닷컴의 새로운 서비스 제공이 일반화되면 해당 모델에 또 다른 새로운 성장 수단이 도입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TD 코웬은 4분기 32%의 매출 성장과 미국의 거시경제 요인의 안정화 및 미국 내 성장 가속화를 근거로 목표주가를 385달러로 다시 상향 조정했다.
월가에선 먼데이닷컴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한다. 코이핀 집계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2026회계연도에 연간 매출이 15억1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3.89% 증가하고 주당순이익(EPS)은 4.40달러로 26.68% 확대할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에는 한층 가파른 성장이 점쳐졌다. 2027회계연도 연간 매출은 18억8000만달러로 24.56% 증가하고 EPS는 5.81달러로 31.95% 늘어날 전망이다.
10일 종가 326.58달러를 기준으로 먼데이닷컴은 올해 들어 38.71%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뉴욕증시 벤치마크인 S&P500지수(3.14% 상승)를 크게 앞지르고 있다. 최근 1년 동안 S&P500지수가 20.80% 오르는 사이 먼데이닷컴은 54.06% 뛰었다. 52주 최저가는 지난해 4월 22일 기록한 174.75달러다.
월가의 투자의견을 종합하면 '매수'다. CNBC 집계에 따르면, 25개 투자은행(IB) 중에 6곳이 '강력 매수', 16곳이 '매수'를 추천했고, 3곳은 '보유' 의견을 냈다(88%가 매수 추천). 이들이 제시한 목표주가 평균은 366.01달러로 현재 주가에서 12.07% 상승 여력을 나타낸다. 월가 최고 목표주가는 455달러, 최저 목표주가는 269.33달러다.
![]() |
먼데이 서비스 [사진=먼데이닷컴 홈페이지] |
골드만삭스는 10일 먼데이닷컴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을 재확인하는 한편 목표주가를 350달러에서 4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들은 회사의 초기 가이던스가 다소 보수적이라고 판단하는데, 중소기업(SMB) 부문의 변곡점, 교차 판매 기회, 고객 확장, 신제품 출시, AI 활용 증가 등 여러 성장 동력이 있음에도 2024회계연도와 유사한 순매출을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캔터 피츠제럴드의 토머스 블레이키 애널리스트는 2024년 4분기에 기록적으로 낮은 고객 이탈률과 대형 고객 핵심성과지표(KPI)의 가속화를 포함한 회사의 강력한 실적 지표를 바탕으로 먼데이닷컴에 대한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92달러에서 38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블레이키는 11월 이후 중소기업과 대형 고객 등 다양한 고객 세그먼트에서 견고한 트렌드가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4분기의 판매 선형성 변화는 회사가 상위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일부 대형 거래가 11월에서 12월로 전환된 결과로 풀이됐다. 이러한 전략적 전환이 대형 고객들의 고객 수, 고객당 평균 매출(ARPC), 연간 반복 매출(ARR) 가속화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니덤도 회사의 성장과 특히 대형 고객들의 지속적인 수요를 강조하며 목표주가를 400달러로 인상했고, 캐너코드 제뉴이티는 회사의 강력한 성장 잠재력과 유리한 시장 포지셔닝을 강조하며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75달러로 올려 잡았다. DA 데이비드슨은 회사의 강력한 실적을 인정하여 '중립'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도 목표주가를 300달러에서 350달러로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