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지난 11일 AI칩 개발 위해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에 투자 요청...협업 공식화
[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한국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들에게 잇따라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과의 협업 기회는 국내 기업들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choipix16@newspim.com |
14일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 등에 따르면 메타가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를 논의 중이다. 포브스는 이들 기업의 인수 절차가 막바지에 이르렀고 이르면 이달 안에 인수가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퓨리오사AI는 데이터센터 서버용 AI 추론 연산 특화 반도체를 개발하는 팹리스 스타트업이다. 메타는 퓨리오사AI가 그동안 선보인 AI 반도체 개발 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자체 AI 칩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인수를 추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메타는 이미 몇 해 전부터 자체 AI 칩 개발을 시작했고 자체 언어 모델(LLM) '라마'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메타는 올해만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최대 650억 달러(약 93조 원)를 투입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메타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들은 현재 엔비디아의 고성능 인공지능 칩을 사는데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이를 절감하기 위해 '대안'으로 자체 칩 생산을 모색하고 있다. 퓨리오사AI는 국내에선 처음으로 AI 전용 반도체 칩에 도전한 스타트업이다.
앞서 지난 4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을 방문해 뤼튼테크놀로지스, 와들, 포티투마루 등 국내 신생 AI 기업들의 개발자들이 대거 참석해 오픈AI의 기술과 전략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한국 기업에 투자를 요청하며 협업을 공식화했다.
오픈AI가 국내에서 투자 유치와 기업 협력을 강화하는 이유 중 하나는 최근 중국 '딥시크'의 급부상 때문이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시한 'R1' 모델이 업계에 거대한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딥시크는 오픈AI의 기존 AI 모델 대비 18분의 1 수준의 비용으로 비슷한 성능의 AI 모델 'R1'을 공개하면서 글로벌 AI 시장의 판도를 흔들었다.
미국 빅테크 기업과의 협업은 한국 AI 스타트업들에 호재가 될 전망이다. 기업들은 이들과의 협업으로 많은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딥시크 여파로 한국 AI 스타트업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열리고 있다"며 "소수 빅테크 독점을 넘어 더 많은 스타트업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승부하는 시대가 곧 도래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외 AI 업계 자체가 다시 관심을 받게 돼 추가적으로 긍정적인 면이 있을 것"이라며 "딥시크가 오픈소스로 풀리면 자체 모델을 가지고 있는, 자체 노하우가 있는 기업에 더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