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장애 신약 임상 호조
최대 28% 추가 상승 예고
골드만, 단기 급등 부담
이 기사는 2월 14일 오후 1시3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투자은행(IB) 업계는 앨커미스(ALKE)에 매수 추천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분기 실적이 말 그대로 '서프라이즈'를 연출한 데다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근거로 볼 때 중장기 성장 잠재력을 지녔다는 평가다.
도이체방크는 지난 2월11일(현지시각) 앨커미스에 대한 첫 분석 보고서를 내고 '매수' 투자의견과 함께 목표주가 40달러를 제시했다.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이미 주가는 15% 가량 뛰었다.
도이체방크는 앨커미스가 개발 중인 기면증 및 특발성 과다수면증(IH) 치료제 ALKS-2680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해당 신약 후보 물질이 오렉신 2 수용체(OXR2) 적용제 분야에서 최고의 잠재력을 지녔다고 도이체방크는 판단한다. 신약 개발에 성공할 경우 미국에서만 20억달러에 달하는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는 기대다.
투자은행(IB) 업계는 1형과 2형 기민증 및 특발성 과다수면증(IH)에 대한 ALKS-2680의 최근 임상 1상 실험 결과가 고무적이라는 데 입을 모은다.
아울러 2025년 하반기로 예정된 임상 2상 실험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도출,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를 부추기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특히 다케나다 센테사를 포함한 경쟁 업체들과 비교했을 때 앨커미스의 신약 후보 물질인 ALKS-2680이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면 주가가 큰 폭으로 뛸 수 있다고 도이체방크는 예상한다.
![]() |
앨커미스의 정신분열증 치료제 리발비 [사진=업체 제공] |
이번 보고서는 "2016년 주요우울장애(MDD) 치료제 ALKS 5461의 임상 3상 실험 실패 사례에서 보듯 단일 약물 개발의 리스크가 없지 않지만 앨커미스 주가의 하방 위험이 제한적"이라며 업체의 주가가 52주 최고치로 뛰었지만 오히려 저평가된 상태라는 진단을 내렸다.
업체가 연간 15억달러 가량의 매출액을 창출하는 상업용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재무적인 안정성을 갖췄다는 설명이다.
도이체방크는 기존의 포트폴리오가 2030년까지 한 자릿수 중반대의 매출 성장을 유지하는 가운데 임상 실험에서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실적과 주가 측면에서 상당 부분 완충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한다.
![]() |
미국 약국 [사진=블룸버그] |
제퍼리스는 2월10일 보고서를 내고 앨커미스에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한 한편 목표주가를 41달러로 제시했다.
이번 의견은 TAK-994의 간 독성에 관한 과학적 연구 검토를 근간으로 이뤄졌다. 연구에 따르면 TAK-994와 관련된 간 독성은 산화 대사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반응성 중간체 때문이며, 오렉신 수용체(OX2) 작용제와 관련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제퍼리스의 분석에 따르면 TAK-994에서 나타난 간 독성은 약물의 분자 구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ALKS-2680이나 더 광범위한 의미의 약물 게열로는 크게 확장되지 않는다.
제퍼리스는 이 같은 연구 결과가 앨커미스가 개발중인 ALKS-2680이 안전하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고 강조한다.
TAK-994의 간 독성이 ALKS-2680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제퍼리스의 확인은 앨커미스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안전성과 잠재적 효능을 주시하는 투자자들에게 작지 않은 의미는 갖는다.
파이퍼 샌들러는 최근 보고서를 내고 앨커미스에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한 한편 목표주가를 37달러로 제시했다.
ALKS-2680을 축으로 오렉신2 수용체 작용 신약 개발에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어 업체가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여지가 높다는 판단이다. 신약 후보 물질이 수면 및 각성 장애 치료제 시장에서 커다란 잠재력을 지녔다는 얘기다.
수면 전문가들은 오렉신 2 수용체 작용제 ALKS-2680이 기면증의 다양한 아형과 특발성 과다수면증(IH)까지 혁신적인 치료 가능성을 보인다고 강조한다. 기존 치료제에 비해 각성 상태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전문가들은 1형 기면증(NT1) 환자 가운데 75~80%가 오렉신 2 수용체 작용제로 치료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2형 기면증(NT2) 환자도 40~50%라 이를 통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앨커미스는 경쟁 업체 센테사의 ORX750과 함께 1형 및 2형 기면증과 특발성 과다수면증(IH)을 포함한 광범위한 수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ALKS-2680을 개발 중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1형 기면증(NT1)에만 집중하는 일본 제약사 다케다의 TAK0861에 비해 앨커미스의 신약 후보 물질이 경쟁 우위를 갖는다고 판단한다.
1형 기면증(NT1)의 경우 하이포크레틴의 결함으로 인한 질환으로, 탈력 발작 증세와 함께 주간 졸림증이 동시에 나타난다. 탈력 발작 없이 주간 졸림증만 발생하는 경우를 2형 기면증(NT2)으로 분류하는데, 의학계에서는 1형과 2형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일이 쉽지 않다고 말한다.
보고에 따르면 2형 기면증(NT2) 환자 수가 인구 10만명 당 25.1명 꼴로 발생한다. 또 매년 인구 10만명 당 2.6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전세계 기면증 환자가 상당수 존재하는 상황에 시장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오렉신 2 수용체 작용제가 가장 커다란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
이 밖에 TD 코웬이 보고서를 내고 2025년 주목할 만한 10대 바이오테크 촉매제를 발표했는데 이 중 하나로 앨커미스의 오렉신 후보 물질 '2680'의 임상 2상 실험 데이터를 지목했다.
2025년 초 이후 주가 급등을 경계하는 의견도 없지 않다. 골드만 삭스는 2월13일자 보고서를 통해 앨커미스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한 가운데 목표주가를 30달러에서 32달러로 높여 잡았지만 이날 종가 대비 11% 낮은 수치다.
골드만 삭스는 업체의 2024년 4분기 실적과 2025년 전망치가 만족스럽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수면 장애와 관련한 치료제 개발의 성공 가능성도 높다는 판단이다. 다만, 연초 이후 25%를 웃도는 주가 상승이 부담스럽다는 지적이다.
스티펠 니콜라우스는 앨커미스에 '매수' 투자의견과 함께 목표주가 42달러를 내놓았다. 향후 12개월 사이 약 17%의 상승 가능성을 예고한 수치다.
한편 시장 조사 업체 팁 랭크스에 따르면 앨커미스를 분석하는 10개 투자은행(IB) 가운데 8개 업체가 '매수' 투자의견을 내놓았고, 2개 업체가 '보유' 의견을 제시했다. 매도를 추천하는 의견은 없었다. 12개월 목표주가는 골드만 삭스가 제시한 32달러부터 최고 46달러까지 분포한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