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실내 건축자재 사용 제도 활성화 간담회
시험기관 및 유역 환경청 담당자 70명 참석
[세종=뉴스핌] 이유나 기자 = 안전한 실내 건축자재 사용 제도 활성화를 위해 관계기관들이 머리를 맞댄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5일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에서 건축자재 사전적합확인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시험기관의 숙련도를 향상하기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 |
친환경 폴리우레아 바닥재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 [사진=KCC] |
이번 간담회에는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 시험기관 및 유역 환경청 담당자 70명이 참석해 건축자재 사전적합확인제도와 실내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최근 연구 결과를 살펴본다.
'건축자재 사전적합확인제도'는 다중이용시설과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제조·수입 실내용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량이 기준에 적합한지 미리 확인하는 제도다. 이때 오염물질 방출량은 환경부가 고시한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 확인 시험기관에서 시험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오염물질 방출시험에 대한 신뢰도 확보를 위해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 확인 시험기관을 대상으로 매년 '숙련도 시험'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시험기관의 측정 전 과정에 대한 능력을 면밀히 평가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행사에서 올해 추진되는 숙련도 시험 추진계획을 업계와 공유하고, 주요 문의 사례를 설명해 시험기관이 신뢰성 있는 시험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종천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은 "최근 건축물의 단열 및 기밀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실내공기 질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건강한 일상 생활환경 조성에 필수 요소인 건축자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시험·검사기관과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yuna74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