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SK텔레콤 'STO 컨소시엄' 선제 대응
'비트고 코리아' 지분 투자 등 수탁시장 공략
법인 계좌 허용 앞두고 거래소 제휴설 부각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하나금융그룹이 가상자산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토큰증권(STO)과 수탁사업, 가상자산거래소 제휴 등 주요 분야에서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금융당국 역시 가상자산 법인 실명계좌를 단계적으로 허용하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주도하는 글로벌 흐름에 맞춰 규제완화 폭을 넓히고 있다. 하나금융을 필두로 5대 금융그룹 모두 가상자산 시장을 차기 먹거리로 낙점, 투자를 늘리고 있어 치열한 각축전이 예상된다.
하나금융은 은행을 비롯한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가상자산 서비스 확대를 추진중이라고 24일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지난해 9월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중소기업 기후위기 대응 등의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4.09.24 choipix16@newspim.com |
◆ 선제적 STO 컨소시엄 구성, 서비스 상용화 기대
금융권이 가장 빠른 상용화를 기대하는 건 토큰증권(STO)이다. STO는 실물 또는 금융자산을 작게 나눈 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일종의 가상자산인 '토큰' 형태로 발행하는 증권이다.
미국 트럼프2기가 가상자산을 전략적으로 공략하자 금융당국 역시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올해 STO와 조각투자 플랫폼 등의 법제화를 추진중이다. 부동산이나 금, 미술품 등 유동화가 어려웠던 자산에 대한 거래가 가능해 주요 금융사들도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시장이다.
하나금융은 2023년 6월 미래에셋증권 및 SK텔레콤과 STO 컨소시엄인 '넥스트 파이낸스이니셔티브'를 결성하며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 상태다. 함 회장이 취임 1년여만에 직접 최현만 당시 미래에셋증권 회장과 회동할 정도로 각별하게 챙기는 사업이다.
금융사와 증권사, 그리고 ICT 기업간의 협력으로 STO 사업은 물론, 블록체인에 기반한 금융 서비스 생태계를 선점하자는 게 컨소시엄의 목표다. 하나증권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STO 분야에서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미래에셋증권과 손을 잡아 화제를 낳기도 했다.
탄핵정국으로 국회 법안소위 문턱을 계속 넘지 못하고 있지만, 정치권에서도 STO 법제화에 대한 공감대는 여야를 막론하고 폭넓게 형성된 상태다. 오는 2030년 360조원까지 성장이 기대되는 만큼 하나금융 역시 컴소시엄을 주축으로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비트고 코리아' 지분 투자, 가상시장 수탁시장 대응
하나금융은 가상자산 법인 계좌 허용 시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되는 수탁시장에도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하반기부터 3500여개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를 단계적으로 허용하면서 코인 거래시 이를 제3의 기관이 보관 및 관리하는 방안을 권고하고 있다. 이는 가상자산거래소에 보관중인 코인에 대한 해킹 피해를 막는 전문 수탁기관을 통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향후 가상자산 ETF 등 파생상품이 허가될 경우, 금융사들은 해당 상품에 상응하는 코인을 반드시 보유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수탁기관에게 코인 자산을 맡겨야 한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 수탁은 향후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대표적인 먹거리 시장으로 꼽힌다.
이미 5대 금융그룹은 모두 수탁 사업에 뛰어든 상태다. 하나금융은 글로벌 수탁전문금융사인 비트고와 협력해 지난해초 '비트고 코리아'를 설립했다. 하나금융이 25%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STO 컨소시엄인 SK텔레콤도 10%를 확보했다.
![]() |
서울 을지로 하나금융그룹 명동사옥 [사진=하나금융그룹] |
하나금융 관계자는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 확대에 대비해 다양한 영역에서 다채로운 사업자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거래소 제휴설 솔솔, 올해 공격적 투자 예고
하나금융의 가상자산 사업 확대에 맞춰 거래소 실명계좌 제휴 가능성도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양사 부인에도 불구하고 계속 이름이 링크되고 있는 업비트가 대표적이다.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는 오는 10월 현 제휴사인 케이뱅크와의 계약이 종료된다.
법인 계좌 시장이 열리면 기업영업력이 뛰어난 제휴사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또한 업비트가 자체 보유한 2조원 규모의 비트코인 등 주요 코인을 관리할 수탁사도 물색해야 한다. 해당 분야에서 인프라가 부족한 케이뱅크 대신 다른 파트너를 찾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업비트는 지난해 10월 2채널 인증 수단으로 주요 금융그룹 중에서는 처음으로 '하나인증서'를 도입한바 있다. 하나금융 역시 업비트 관련 행사에 금융권에서 유일하게 참여하는 등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하나금융에서 업비트로 이동한 실무급 인력도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금융과 업비트는 실명계좌 제휴설에 공식적으로 사실무근이라고 밝힌 상태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현 1거래소·1은행 시스템을 바꿀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어 당분간 시장 변화를 주목해야 한다는 관측이다.
하나금융은 올해 조직개편에서 가상자산 관련 사업을 총괄하는 AI·디지털전략본부를 미래성장부문 산하로 재편하고 본부장을 교체하는 등 일부 변화를 단행했다. 함 회장이 신년사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을 강조한만큼 올해 대대적인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
하나금융은 "아직 금융사의 직접적인 가상자산 투자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계획 등을 언급할 단계는 아니다"며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업계 사업 추진 등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