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한화자산운용은 PLUS 미국S&P500 성장주 ETF(상장지수펀드)의 총보수를 기존 0.04%에서 0.0062%로 인하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보수 인하는 미국의 대표 성장주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한 결정이다. 특히 'S&P500'과 같은 미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 관련 ETF의 경우, 연금 계좌를 통해 오랜 기간 투자하는 투자자가 많은 만큼 작은 차이가 복리효과로 인해 향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PLUS 미국S&P500성장주' ETF는 미국 주식 시장에서 가장 널리 투자되는 'S&P500' 지수를 기반으로 하되 성장성이 높은 종목에 더 많은 비중을 둔 'S&P500성장주 지수(S&P500 Growth Index)'를 기초지수로 한다. AI, 반도체, 클라우드,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등 성장성이 높은 섹터의 비중을 높여 S&P500 대비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점이 특징이다. 동시에 헬스케어, 금융, 소비재 등 다양한 섹터에 분산 투자한다는 'S&P500'의 장점도 갖추고 있다.
'PLUS 미국S&P500성장주' ETF의 기간별 수익률은 지난 20일 기준 최근 1개월 1.8%, 3개월 10.7%, 상장 이후 14.3%(상장일 : 2024년 10월 22일)로, 동기간 S&P500 Index(원화환산)의 수익률인 1.5%·7.4%·9.5%보다 나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 |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2025.02.25 y2kid@newspim.com |
자체 백테스트 결과, 2005년 1월부터 2025년 1월까지 20년 간, 매월 50만원씩 'S&P500성장주' 지수에 적립식으로 투자했다고 가정 시, 투자자산은 약 5억8000만원으로, 'S&P500' 지수에 동일한 방법으로 투자했을 때(4억4000만원)에 비해 약 1억4000만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했다.
'PLUS 미국S&P500 성장주'는 'S&P500' 대비 기대 자본차익은 큰 반면 배당률(분배율)이 낮기 때문에, 최근 외국납부세액환급제도가 폐지되는 등의 변화에도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최근 외국납부세액환급제도 폐지로, 분배율이 높은 해외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국내 상장 ETF에서 일부 자금이 빠져나가는 흐름이 포착되고 있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PLUS 미국S&P500성장주는 이번 보수 인하로 투자비용 면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론 단순히 저렴한 보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S&P500 관련 상품의 보수 차이는 합성총보수 기준 0.01% 내외로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PLUS 미국S&P500성장주 ETF는 'S&P500' 대비 꾸준히 초과 성과를 기록해 온 만큼, 이번 보수 인하와 함께 투자자들에게 장기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