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 파월 발언 후 낙폭 확대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교역국에 부과한 예상보다 높은 관세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둘 다 높일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추가 금리 조정을 기다리며 상황이 더욱 분명해지기를 기다리겠다고 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연설을 통해 지난 2일 발표된 상호관세로 "우리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승의 위험이 높은 매우 불확실한 전망에 직면해 있다"며 "이는 2%의 인플레이션과 최대 고용이라는 연준의 두 가지 임무를 저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우리의 의무는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를 잘 고정하고 물가 수준의 한 차례 상승이 계속되는 인플레이션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우리의 정책 기조 조정을 검토하기 전에 더 상황이 분명해지기를 기다리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화정책의 적절한 경로가 무엇인지 이야기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판단했다.
이 같은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에 완벽한 시점"이라며 "그는 항상 늦지만 그의 이미지를 빠르게 바꿀 수 있다"고 밝힌 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금리를 내리고 정치를 그만하라"고 덧붙였다.
![]()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블룸버그] |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하고 올해 2차례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유지했다. 당시 파월 의장은 관세가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더 꾸준한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더딘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8% 올라 완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연준의 2% 목표치를 웃돌고 있다.
파월 의장이 조만간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을 시사하면서 주식시장은 낙폭을 키웠다. 미국 동부 시간 오후 1시 45분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4.1%, S&P500지수는 3.8% 각각 내렸고 나스닥 지수는 4.9%의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관세로 연준이 상반기 말이나 하반기 초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면서도 이날 파월 의장이 중립적인 기조를 드러낸 것에 실망감을 표시했다.
퀀텀 파이낸셜 어드바이저스의 조 리날디 대표 겸 수석투자책임자(CIO)는 "파월의 입장은 매우 중립적이고 온건하다"면서도 "하지만 전 세계 경제가 계속해서 둔화할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여름이 끝나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금리를 인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