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콘트롤타워인 '종합대책본부'를 설치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담당할 장관도 지명했다.
NHK에 따르면 日 정부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고 모든 각료로 구성된 종합대책본부를 설치하고 8일 첫 회의를 열었다.
이시바 총리는 회의에서 관세 조치의 재검토를 요구하기 위한 외교 협상과 국내 산업에 대한 지원 등 정부 전체가 대응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총리는 "광범위한 무역 제한 조치는 세계 경제와 다자간 무역 체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매우 유감스럽다. 어젯밤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회담을 갖고 내 생각을 전달했으며, 솔직하고 건설적인 협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자동차 산업은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이며, 철강과 알루미늄은 일본 경제의 중추를 이루는 산업이다. 상호 관세는 모든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 대응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발동한 데 이어, 현지시간 9일에는 상호 관세라는 명목으로 일본에 24%의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발동할 예정이다.
한편 日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주도할 담당 각료로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상을 지명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담당상은 양국 정상의 전화 회담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후속 협의를 진행하게 된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협상 담당자로 지명됐다. 베센트 장관은 "일본 정부와 협의를 개시하도록 지시받았다"며 "일본이 매우 빨리 나섰기 때문에 협상의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일본 정부의 관세 대응 종합대책본부 회의 모습 [사진=NHK 캡처]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