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들이 연간 10억 달러(약 1조 4282억 원) 이상의 비용 부담을 안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 해당 추산이 지난주 미국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 논의된 내용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내 3대 반도체 장비업체인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램 리서치, KLA는 각 회사당 약 3억 5000만 달러(약 4999억 원) 규모의 손실이 예상됐다.
온토 이노베이션과 같은 중소 업체들 역시 수천만 달러의 추가 지출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러한 손실에는 장비의 해외 판매 기회 상실, 반도체 장비에 필요한 복잡한 부품을 대체 공급처에서 구입해야 하는 추가 비용, 관세 규정 준수를 위한 인력 충원 등의 행정 비용 등이 포함됐다.
해당 기업은 수천 개의 특수 부품이 들어가는 세계적으로 가장 정교한 반도체 제조 장비를 만드는 회사들이다.
이들 반도체 장비업체들은 이미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 시행된 수출 통제 조치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매출 손실을 감당해야 했다. 해당 통제는 중국 기업들에 대한 첨단 장비 수출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 초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를 일시적으로 보류했지만, 미국 내 제조업 확대를 위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추가 관세를 검토 중이며, 지난 14일에는 반도체 장비 수입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현재 업계 대표들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관계자들은 미 정부 및 의회와 관세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매체는 현재 거론되는 회사당 3억 5000만 달러 규모의 손실 추산은 초기 추정치이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실제로 시행되면 변동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의 반도체 분야 장비 ENDURA® PVD [출처: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