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최대 70% 관세 부과
美 태양광시장서 中 기업 경쟁력 상실...韓 기업 수혜 기대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자동차와 반도체, 철강 등 국내 주력 산업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신음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태양광 업체들은 관세 폭탄을 비켜나가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폴리실리콘과 웨이퍼 등 태양광 패널은 미국 상호관세 면세 품목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태양광업계에 따르면, 폴리실리콘과 웨이퍼는 희귀광물, 백신용 화학소재 등 미국 정부의 관세 면제 품목(HTSUS)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 면제 품목은 미국이 직접 생산하기 어려운 제품들로 구성됐다.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면제 품목에 태양광 소재 부품이 포함됐다는 소식에 한화솔루션과 OCI홀딩스는 이날 주식시장에서 10% 넘게 올랐다.
◆ 美,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최대 70% 관세 부과
트럼프 정부는 현재 중국산 웨이퍼와 폴리실리콘에 최대 7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더 높아질 가능성도 나온다.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 결정에 따라 올해 1월부터 해당 품목의 관세는 25%에서 50%로 두 배로 인상됐다.
이에 따라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은 이미 가격 경쟁력을 잃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기업들의 생산비용은 한화솔루션이나 현지 태양광 기업들 대비 약 15~20% 가까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 |
한화큐셀이 지난해 완공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소재 태양광 발전소 [사진=한화큐셀] |
미국은 이미 지난해부터 동남아 4개국(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산 태양광 셀·모듈에 대해 반덤핑 및 상계관세 예비 판정을 내리며 중국산 수입을 억제해왔다. 2010년대부터 중국산 태양광 제품 수입을 억제하는 정책을 펴왔다.
지난 2011년 처음으로 미국 태양광 기업인 솔라월드가 미국 상무부에 중국 태양광 기업들을 불공정 거래로 제소했고, 이를 막기 위해 반덤핑 상계관세가 도입됐다. 이후 중국 기업들은 관세를 피해 미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대만과 동남아 4개국 등 다른 국가들을 통해 우회 수출해왔고, 미국은 중국의 우회로를 차단했다.
이진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반덤핑 관련 예비심사에서 결정된 관세 수준만으로도 이미 중국 태양광 기업들은 경쟁력을 상실했다고 판단한다"며 "미국 시장 내 판가를 끌어 내리던 중국 모듈 수입량의 급감, 관세 부과로 인한 비용 증가로 미국 내 모듈 가격은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美 태양광시장서 中 기업 경쟁력 상실...韓 기업 수혜 기대
이에 따라 미국에 일찌감치 공장을 짓고 있는 한화솔루션과 OCI 등 국내 태양광 기업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한화솔루션은 3.2조원을 투입해 미국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현지 최대 태양광 단지인 솔라허브를 짓고 있다. 솔라허브의 생산 능력은 연간 8.4GW(기가와트)로 미국의 약 13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한화솔루션은 연내 솔라허브를 가동해 현지 생산 비중을 70% 수준으로 끌어올려 관세도 피하고, 비용도 절감한다는 전략이다.
OCI홀딩스도 미국에서 웨이퍼 및 셀을 생산하는 글로벌 파트너사와 합작 법인 설립을 추진중이다. OCI홀딩스의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OCI테라서스가 생산하는 폴리실리콘을 활용해 미국에서 웨이퍼, 셀, 모듈을 생산할 계획이다.
태양광업계 한 관계자는 "그 동안 중국산 저가 제품 공세에 한국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었지만,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며 "일찌감치 미국에 생산 설비를 갖춘 기업 중심으로 트럼프 관세 영향을 덜 받지 않겠냐"고 말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