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상 조치 10건, 신분상 조치 33건, 11억5천900만 원 감액 조치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지난해 9월 발생한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건설사업과 관련해 발생한 대형 땅꺼짐 사고는 집중호우와 소홀한 시공관리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 |
|
지난해 9월 21일 오전 8시50분께 도시철도 하단~사상선 건설사업과 관련해 발생한 땅꺼짐 사고 [사진=부산시] 2025.02.18 |
시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9월 12일부터 11월 15일까지 20일간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건설사업 특정감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시는 이번 감사를 통해 ▲행정상 조치 10건(시정 2건, 주의 4건, 통보 4건) ▲신분상 조치 33건(훈계 11건, 주의 22건) ▲11억5900만 원의 설계변경(감액) 조치를 요구했다.
시공사 및 건설사업관리단과 관련된 지적사항에 대해 관련 규정에 따라 벌점 부과 등을 조치토록 부산교통공사에 통보했다.
지난해 9월 21일 오전 8시 50분경 2공구에서 발생한 대형 땅꺼짐 사고의 원인은 집중호우(379㎜)와 함께 차수공사 및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시공관리 소홀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확인됐다.
건설사업관리단은 차수 품질시험 자격이 없는 하수급인이 시험·작성한 품질시험 보고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시공사에 새벽로 본선 구간 굴착 작업을 진행토록 해 굴착 중 지하수 및 토사 유출로 정상적인 굴착 작업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부실한 품질시험 및 시공관리 소홀 등도 문제로 드러났다.
부산교통공사는 부진공정 만회 대책의 수립·이행 여부를 정확히 지도·점검하지 않아 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위원회는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에 대해 벌점 부과를 통보하고, 다수의 품질 및 안전 관리 소홀 사례에 '훈계·주의'를 내렸다.
윤희연 위원장은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의 과실을 규명하고, 부산교통공사의 감독 미흡을 지적해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