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복귀율 30% 이하
2026학년도 모집인원 3058명 확정, 복지부는 '유감'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의과대학 측이 정한 집단 유급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대생이 모두 복귀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현재 교육부는 의대생 대표들에게 대화를 요청한 상태다.
이 부총리는 25일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들의 현안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 |
[서울=뉴스핌]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교육부] 2025.04.22 photo@newspim.com |
이날 교육위 전체회의는 6·3 조기대선에 따른 마지막 회의가 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현 정부의 교육정책을 전체적으로 되짚어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부총리는 1년 넘게 이어진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에 따른 의대생 미복귀 사태와 관련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라는 공식 학생 기구와 대표들에 대화를 요청했다"며 "4월 말 이전 대화가 성사돼 학생들이 복귀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를 바란다"고 희망했다.
앞서 휴학계를 낸 의대생들은 대학과 정부의 학칙에 따른 제적 가능성을 제기하자 휴학을 철회했지만, 여전히 수업 참여율은 저조한 상태다. 대학마다 상황은 다르지만 평균 30% 이하의 수업 복귀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부총리는 "수업 복귀가 쉽지 않지만,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며 "최근 의대생 14명과 대화를 했는데 희망적인 내용이었다"고 답했다.
다만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결정한 배경과 의대 증원 권한이 있는 보건복지부와의 갈등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동결하는 방안을 정부에 요청했고, 이를 정부가 수용했다. 학생들의 복귀 여부와 관계없이 전격적인 결정이 이뤄진 셈이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여전히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해 이 부총리는 "어떤 정책이든 부처 간 이견이 분명히 있을 수 있다"며 "충분히 협의해 결론을 내린다"고 말했다.
의대에 대한 지원 여부에 대한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에 "교육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고자 하는 계획은 가지고 있다"며 "더 많이 투자하고 질을 개선하는 방향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2024·25학번 의대생이 수업에 동시에 참여할 경우 '의학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느냐는 김영호 교육위 위원장의 지적도 있었다. 이에 이 부총리는 "현재 각 대학에서 다양한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며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미래지향적 논의를 위한 '의사 과학자'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 부총리는 "교육부에 의대 교육 지원국이 설치됐지만, 의사과학자 양성에 대한 부처 간 관심과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