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관현 열사와 같은 방 수감…마음이 아프다"
"5월 정신, 공격 수단 아닌 희생의 뜻"
[광주=뉴스핌] 박서영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를 찾았다. 김 후보는 5·18민주묘지와 광주교도소 터를 연달아 방문하며 '험지' 호남에서의 첫 일정을 소화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8시30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이 자리에서 김 후보는 전남대 총학생회장이었던 고 박관현 열사의 묘 앞에서 묵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오전 광주시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 도착해 광주전남촛불행동 회원들의 항의를 받으며 들어서고 있다.2025.05.15. gdlee@newspim.com |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대학생들은 5·18 민주묘지 정문인 '민주의 문' 앞에서 '내란 후예 광주 방문 반대' 피켓을 들고 규탄 시위를 벌였다. 김 후보가 등장하자 현장에 있던 한 중년 여성은 김 후보를 향해 '독재타도' '김문수 아웃'이라고 고함치기도 했다.
이에 김 후보는 아무 말 없이 정면만 바라보며 묘역 안으로 들어섰다.
그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은 후 윤상원·박관현 열사 묘역으로 이동해 추모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 묘비를 어루만지며 눈물을 보였다.
김 후보는 "제가 박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했다. 박 열사가 죽은 뒤 그 방으로 제가 수감돼 1년 동안 생활했다"며 "(박 열사) 누님이 아직 살아계신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그분을 생각하면 마음이 너무 아프다"고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김 후보는 군사정권에 맞서 직선제 개헌 투쟁을 하다가 1986년 구속됐고 안양·청송·목포 교도소 등을 거쳐 1988년 3월 광주교도소에 수감됐다가 같은해 10월 개천절 특사로 출소했다.
묘역 참배 이후 김 후보는 자신이 수감됐었던 광주교도소 터를 방문했다. 김 후보는 수감 당시를 회상하다 목이 메듯 울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교도소 안은 매우 좁고 온갖 벌레들이 기어오르는 참혹한 곳이다. 수감 당시 작은 운동장에서 넘어지며 얼굴이 찢어졌는데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해 흉터가 아직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러 아픔을 딛고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존중 사회를 누릴 수 있게 됐다. 5월의 정신은 남을 미워하거나 공격하는 수단이 아니라 희생 위에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가 서 있음을 뜻한다"고 했다.
이날 김 후보는 광주 현장 선거대책위원회의를 참석한 후 전북 전주로 이동해 호남 유세를 이어간다.
![]() |
[광주=뉴스핌] 이길동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오전 광주시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 광주전남촛불행동 회원들의 항의를 받으며 도착해 참배를 준비하며 눈을 감고 있다. 2025.05.17 gdlee@newspim.com |
se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