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호선 급행화에 1조1650억 예산 낭비"
"무리한 트램 노선 신설, 교통 혼잡 문제"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가 발표한 제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을 두고 시민단체가 안전성, 효율성, 재정 부담 등 전반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시민과함께 부산연대와 부산공공성연대는 20일 논평을 통해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은 객관적 타당성과 시민 편익이 빠진 계획"이라며 "지속가능한 대중교통 관점에서 시민·전문가와 함께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부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노선도(안) [사진=부산시] 2025.05.07 |
이번 계획안은 총사업비 4조7000억 원 규모로, 부산형 급행철도(BuTX) 신설, 1·2호선 급행화, 트램 노선 신설 등 10개 노선이 포함됐다.
이들은 BuTX에 도입 예정인 수소연료전지 열차의 안전성 검증 미비를 지적했다. 이들은 "독일 등 해외에서도 수소열차의 부품 신뢰성 문제로 운행이 중단된 사례가 있다"며 "기술 검증과 비상대응체계 마련 없이 '최초' 타이틀에 집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직격했다.
1·2호선 급행화 사업에 1조1650억 원이 투입되는 점도 비판했다. 이들은 "배차 간격 단축이나 급행버스 도입 등 대안이 있음에도, 수요 예측과 사회적 편익이 낮은 급행화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다면 예산 낭비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트램 노선 신설에 대해서도 부산의 지형과 도로 여건을 감안하지 않은 무리한 계획이라며, 최근 무산된 오륙도선 사례를 언급했다.
이들은 "트램 전용차로 확보와 교통 혼잡, 안전 대책 등 종합적 검토 없이 추진하면 또다시 사업성이 낮아 무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산시가 매년 5000억 원 이상을 버스·지하철 적자 보전에 투입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신규 노선 추가가 재정 악화와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노후 차량 교체 등 기존 노선의 안전 확보가 우선이며 교통약자와 원도심 주민을 위한 연계 교통망 강화가 시급하다"고 꼬집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