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2544억원 공급…출범 후 7조4203억원
중저신용자·소상공인 특화 CSS로 포용금융 실천 노력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올해 1분기 전체 신용대출 평균잔액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35%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인터넷은행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 4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35% 이상을 상회했다. 케이뱅크가 올 1분기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2544억원으로 2017년 출범 이후 누적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은 총 7조 4203억원이다.
![]() |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올해 1분기 전체 신용대출 평균잔액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35%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사진=케이뱅크] |
다만 이번 분기 평균 잔액 기준으로는 26.3%를 기록했는데, 평균 잔액은 조기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어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았던 2월, 3월의 반영률이 1월보다 낮은 것에 따른 영향이다.
케이뱅크는 포용금융 확대를 위해 중저신용자를 포함한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 금융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현재 총 10개 지역의 신용보증재단과 손잡고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자금 대출상품 '사장님 보증서대출'을 출시했으며, 이중 부산 지역의 경우 1분기 취급 건수의 62%가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됐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 1분기 케이뱅크가 취급한 개인사업자 물적담보대출의 평균 금리는 연 3.73%로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연 4.58%)보다 0.85%포인트(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저신용 대출의 안정적인 공급과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CSS(신용평가모형) 고도화 역시 지속하고 있다. 지난 3월말 중저신용자 특화모형 도입으로 대출 접근성을 높인 신용평가모형 CSS 3.0을 적용해 중저신용자 대출기회를 확대하고 신용평가 변별력을 제고했다. CSS 3.0과 함께 인터넷은행 최초로 이퀄(EQUAL)을 도입해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대안신용평가 고도화로 신용평가 시너지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 고객을 위한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시 노력 중"이라며 "CSS 고도화 및 건전성 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포용금융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jane9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