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VivaTech 2025] ② Morphing I "Smart Infrastructure Company Diagnosing Underground Pipes with AI Robots"

기사입력 : 2025년06월04일 18:23

최종수정 : 2025년06월06일 23:16

[Sejong=NewsPim] Reporter Kyoungtae Yi = This year, the paradigm of digital infrastructure management is changing. At the center of this transformation is Morphing I. Established in 2021, this startup is gaining atten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y developing 'smart infrastructure solutions' that combine AI and robotics technology to diagnose aging underground pipes in real-time and prevent accidents.

Morphing I's core technology is a biomimetic small robot called 'Morphing-BOT'. This robot is designed to move smoothly even inside narrow-diameter pipes and is equipped with self-generating sensors and smart valves to collect video and audio data. This data is transmitted to AI analysis software and digital twin platforms to predict various abnormal signs such as corrosion, cracks, leaks, and poor welding, while suggesting optimal maintenance timing. It has achieved breakthrough improvements in accuracy and efficiency compared to existing manual inspection methods, and also provides real-time visualization of pipeline conditions on GIS and LiDAR-based 3D maps.

Biomimetic small robot called 'Morphing-BOT' [Photo=MorphingEye] 2025.06.03 biggerthanseoul@newspim.com

Morphing I'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been proven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onstration projects. Based on technology transfer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ompany secured R&D funding worth 5 billion won. It has successfully conducted demonstrations spanning over 30km in collaboration with four local governments: Jeju, Jindo, Jeonju, and Siheung.

Furthermore, the company participated in major global technology exhibitions such as CES, IFA, and Web Summit to showcase its technology, and has begun full-scale global market expansion by establishing local offices in the United States, Indonesia, Dubai, and Vietnam.

Morphing I has extended its exploration distance from the previous 100m level to a maximum of 2km to further enhance AI technology accuracy and expand diagnostic scope. In particular, the company has developed the world's first 'underwater waterless submersible' inspection robot, enabling stable diagnosis even in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waterways, sewers, and submarine pipelines. Additionally, by collecting not only video but also audio data, diagnostic accuracy has been dramatically improved,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both public safety assurance and maintenance cost reduction simultaneously.

Morphing I has demonstrated its growth potential by recording cumulative sales of 6 billion won, and aims to raise its corporate valuation to $100 million within this year through a Series A investment round. The business model consists of robot-based inspection services, AI diagnostic report provision, and digital twin visualization solutions, featuring a structure that encompasses both profitability and scalability.

With VivaTech 2025 as a catalyst, Morphing I is accelerating its European market expansion. Demand for renovation of aging infrastructure in Europe, including France and Germany, is rapidly increasing, and interest in smart maintenance solutions is also growing amid policy trends centered on ESG and sustainability. Morphing I plans to leverage these trends as opportunities to expand strategic partnerships with public institutions and smart city operators across European countri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AI and robots, we visualize 'invisible risks' and transform them into predictable management." Morphing I's vision goes beyond being a simple technology company to become a 'digital infrastructure innovator' contributing to creating safer and more sustainable cities. Morphing I is now raising anchor for its great voyage toward Europe.

biggerthanseoul@newspim.com

 

[VivaTech 2025] ②MorphingEye « Entreprise d'infrastructure intelligente diagnostiquant les canalisations souterraines avec des robots IA »

[Sejong=NewsPim] Journaliste Kyoungtae Yi = 

Cette année, le paradigme de la gestion des infrastructures numériques évolue. Au centre de cette transformation se trouve Morphing I. Créée en 2021, cette startup attire l'attention tant au niveau national qu'international en développant des « solutions d'infrastructure intelligente » qui combinent l'IA et la technologie robotique pour diagnostiquer en temps réel les canalisations souterraines vieillissantes et prévenir les accidents.

La technologie principale de Morphing I est un petit robot biomimétique appelé « Morphing-BOT ». Ce robot est conçu pour se déplacer facilement même à l'intérieur de canalisations de petit diamètre et est équipé de capteurs auto-générateurs et de vannes intelligentes pour collecter des données vidéo et audio. Ces données sont transmises à un logiciel d'analyse IA et à des plateformes de jumeaux numériques pour prédire divers signes anormaux tels que la corrosion, les fissures, les fuites et les mauvaises soudures, tout en suggérant le moment optimal pour la maintenance. Il a permis d'obtenir des améliorations révolutionnaires en termes de précision et d'efficacité par rapport aux méthodes d'inspection manuelle existantes, et fournit également une visualisation en temps réel des conditions des canalisations sur des cartes 3D basées sur SIG et LiDAR.

Les capacités technologiques de Morphing I ont été démontrées à travers des projets de démonstration nationaux et internationaux. Grâce au transfert de technologie de l'Université nationale de Séoul et avec le soutien du ministère des Sciences et des TIC et du ministère de l'Aménagement du territoire, des Infrastructures et des Transports, l'entreprise a obtenu un financement R&D de 5 milliards de wons. Elle a mené avec succès des démonstrations s'étendant sur plus de 30 km en collaboration avec quatre collectivités locales : Jeju, Jindo, Jeonju et Siheung.

De plus, l'entreprise a participé à de grandes expositions technologiques mondiales telles que le CES, l'IFA et le Web Summit pour présenter sa technologie, et a commencé son expansion mondiale à grande échelle en établissant des bureaux locaux aux États-Unis, en Indonésie, à Dubaï et au Vietnam.

Morphing I a étendu sa distance d'exploration du niveau précédent de 100 m à un maximum de 2 km pour améliorer davantage la précision de la technologie IA et élargir la portée diagnostique. En particulier, l'entreprise a développé le premier robot d'inspection submersible « sous-marin sans eau » au monde, permettant un diagnostic stable même dans des environnements extrêmes tels que les voies navigables, les égouts et les pipelines sous-marins. De plus, en collectant non seulement des données vidéo mais aussi des données audio, la précision diagnostique a été considérablement améliorée, permettant d'assurer simultanément la sécurité publique et la réduction des coûts de maintenance.

Morphing I a démontré son potentiel de croissance en enregistrant des ventes cumulées de 6 milliards de wons, et vise à porter sa valorisation d'entreprise à 100 millions de dollars d'ici cette année grâce à un tour de financement de série A. Le modèle économique comprend des services d'inspection basés sur des robots, la fourniture de rapports de diagnostic IA et des solutions de visualisation de jumeaux numériques, avec une structure qui englobe à la fois rentabilité et évolutivité.

Avec VivaTech 2025 comme catalyseur, Morphing I accélère son expansion sur le marché européen. La demande de rénovation des infrastructures vieillissantes en Europe, notamment en France et en Allemagne, augmente rapidement, et l'intérêt pour les solutions de maintenance intelligente croît également dans le contexte des tendances politiques centrées sur l'ESG et la durabilité. Morphing I prévoit de tirer parti de ces tendances comme opportunités pour développer des partenariats stratégiques avec les institutions publiques et les opérateurs de villes intelligentes dans les pays européens.

« Grâce à la convergence de l'IA et des robots, nous visualisons les 'risques invisibles' et les transformons en gestion prévisible. » La vision de Morphing I va au-delà d'être une simple entreprise technologique pour devenir un « innovateur d'infrastructure numérique » contribuant à créer des villes plus sûres et plus durables. Morphing I lève maintenant l'ancre pour son grand voyage vers l'Europe.

biggerthanseoul@newspim.com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sponsorship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음달 10일 2차 소비쿠폰 기준 나온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행정안전부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기준을 이르면 내달 초 발표할 예정이다. 상위 10% 구분 기준은 부동산 및 금융소득 등을 살펴 이달 중 기준 수립 준비에 나선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에서 열린 민생회복 소비쿠폰 간담회에서 "9월 10일 정도에 2차 (소비쿠폰) 기준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실장에 따르면 2차 지급 기준 준비는 이달 중 시작된다. 그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을 만나 기준을 짜야 한다"며 "2021년 사례를 보면 1인가구는 특례를 가산했고, 맞벌이가구는 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한국신용데이터(KCD)가 4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자영업자 매출 증감률은 전주 대비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04 ryuchan0925@newspim.com 한 실장은 "고액 자산가인데 건보료만 적게 내는 경우도 있다"며 "(행안부의) 부동산 데이터나 국세청 금융소득 데이터를 활용해 직장 가입자 중 고액 자산가를 선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소비쿠폰 지급 현황에 따르면 전체 신청자는 4818만명으로, 전체 지급대상자의 95.2%가 신청을 마쳤다. 지급액은 8조7232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용 현황은 신용·체크카드 지급액 5조8608억원 가운데 절반가량인 3조404억원(51.9%)이 소비됐다. 이날 처음 공개된 지역별 신용·체크카드 소비율을 보면 서울보다 지역이 높은 편이었다. 제주가 57.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 54.7%, 울산 54.6%, 광주 54.5%, 충북 54.1%, 대전 54.0%, 부산 53.7% 등이었다. 한 실장은 "비수도권에 3만원·5만원 더 준 부분도 있지만, 지역 영세소상공인 매출로 이어져 의미 있는 숫자"라며 "10%포인트(p) 차이는 아니지만 2~3%p라도 높은 것은 그만큼 비수도권이 어려웠다는 방증이자 (소비쿠폰이) 사용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위한 예산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실장은 "사업 전체 13조9000억원 가운데 1조8000억원만 지방(예산)이고 나머지 12조1000억원가량이 국비다"라며 "(국비에서) 8조1000억원을 먼저 내렸고, 기획재정부 협조를 구해 이달 중순 정도에 4조1000억원을 조속하게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자료=행정안전부] 2025.08.08 sheep@newspim.com 한 실장은 "(소비쿠폰 2차 지급에 앞서) 지방채 발행이 필요 충분 조건은 아니고 충분조건 정도 될 것"이라며 "(지방재정법 통과는) 9월 본회의까지 하도록 목표를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는 민생쿠폰 관련 연구용역 예산 2억원도 담겼다. 소비쿠폰 등 현금성 지원에 대한 효과를 철저하게 분석한다는 취지다. 한 실장은 "민생쿠폰 추경에 연구용역비 2억원이 담겼다"며 "과거 2020~2021년 효과가 있냐 없냐 등 많은 비판이 있었다. 연구 용역을 제대로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세정책연구원이나 KDI 등과 연구한다는 것이 행안부 현재 계획이다. 행안부는 하나로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이날 밝혔다. 그간 도서산간지역 소비쿠폰 사용처가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한 실장은 "면 단위에서 동네에 마트 등이 전혀 없는 경우가 있어 하나로마트 121곳에서 현재 사용 가능하다"면서도 "현장을 가 보니 마트가 있어도 너무 영세해 고기나 채소 등 신선식품을 사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현재 시장·군수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하고 있고, 빠른 시일 내로 하나로마트 사용처를 추가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실장은 또 "추가 소비 진작 대책을 관계부처와 많이 만들고 있다"며 "행안부는 수도권 기업, 공기업, 관공서 등과 비수도권 간 자매결연을 맺는 소비진작 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8-08 16:11
사진
주담대 이어 전세대출 문턱 높인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에 은행권 또한 전세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가계대출 감축 취지에 발맞춘 조치이지만 서민 실수요자의 주거 사다리가 점점 짧아질 수 있다는 비판도 덩달아 커지는 모습이다. 최근 1년간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 변동 추이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대출 안 내준단 은행에… 집주인·세입자 모두 '망연자실' 8일 금융권은 이번 주부터 전국 단위로 조건부 전세대출 취급 제한을 확대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6일부터 10월까지 임대인 소유권 이전이나 보유 주택 처분을 조건으로 한 전세대출을 막기로 했다. 집주인이 기존에 갖고 있던 근저당을 말소하는 대신 나오는 전세대출도 마찬가지다. 본래 수도권을 대상으로만 금지했으나 이를 전국으로 확대한다. 하나은행은 이달 5일부터 9월 실행 예정인 전세대출의 신규 신청을 받지 않기로 했다. NH농협은행도 비슷한 상황이다. IBK기업은행은 이보다 하루 빠른 이달 4일부터 대출 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정부는 지난 6월 27일 수도권·규제지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섰다. 같은 달 28일부터 수도권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 이하로 제한하고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구입 대출을 전면 금지했다. 세입자가 전세자금대출을 받는 날 해당 주택 소유권을 이전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도 불가하다. 이와 함께 하반기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기존의 절반으로 줄였다.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치를 7조2000억원에서 3조6000억원으로 축소했다.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액은 4조1386억원으로 전월(6조7536억원)보다 38.7% 줄었다. 갭투자를 차단하겠다는 명목이지만 당장 자금 조달에 차질이 생기면서 전세 입주를 앞둔 이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수중에 돈이 없는데 은행 대출 문까지 막히면서 입주를 못 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어서다. 대출이 많이 껴있는 집이나 주택 여러 채를 소유한 임대인의 집에 들어가려면 대출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전세 매물도 감소세다. 전세계약 만료를 앞둔 집주인도 대출이 안 나와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지자 세입자를 받는 대신 직접 입주를 선택하는 일이 늘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6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3467건으로 전년 동기(2만6512건) 대비 11.5% 감소했다.  거래량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9546건으로 전월(1만2120건) 대비 21% 줄었다. 수요는 많은데 매물은 줄어들면서 가격은 상승세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은 평균 5억6333만원으로 한 달 사이 333만원 올랐다. 전년 동기(5억 3167만 원)와 비교하면 6.0% 뛰었다. ◆ "돈도 매물도 없다" 갈 곳 없는 세입자, 월세로 눈 돌려 6.27 대출규제에 정책대출 감축 내용도 포함되며 전셋값 상승 압력을 더욱 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지원되던 청년·신혼부부·신생아 버팀목 전세대출의 한도도 줄었다. 상품에 따라 상한선이 최소 4000만원에서 많게는 6000만원까지 내려오면서, 이를 통해 보증금을 마련하려던 예비 세입자들의 부담이 커지게 됐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2년 전보다 전세가가 하락해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집주인 입장에선 이번 규제가 전세 보증금 반환 리스크를 더욱 가중시키는 또 다른 변수로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터 전문위원 "정책대출이 줄어들면 장기 저리 대출 수단이 사라지면서 주거 사다리 형성이 더 어려워진다"며 "청년, 신혼부부 등 초기 자산 형성이 되지 않은 계층과 주택 구입이 더 멀어지며 임대시장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주택 실수요자는 전셋값이 오르고 자금줄은 막힌 이중고 속에서 집을 구하긴 해야 하니 반전세나 월세 등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발생한 아파트 신규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은 42.2%(5555건 중 2345건)으로 전년 동기(41.5%)보다 0.7%p 증가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정기획위원회가 전세대출과 정책모기지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을 검토하겠다고 알려지며 우려가 더욱 커졌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추가 대책이 적절히 마련돼야 한다며 입을 모은다.  김인만 김인만경제연구소 소장은 "집값 급등의 원인이 되는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이나 세금 관련 규제 등을 통해 주택시장을 안정화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질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덕례 주택연구실장은 "이전 정부 경험에 비춰볼 때 이번 대출 규제 효과는 3∼6개월에 불과할 우려가 있다"며 "빠르고 강력한 공급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눌려 있던 매매 수요가 저금리와 경기 활성화 분위기를 타고 다시 살아나면서 4분기 중 집값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2025-08-08 06: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