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과학기술

속보

더보기

[VivaTech 2025] ⑥ CUBIG "Designing the Future of AI Data Privacy"

기사입력 : 2025년06월04일 18:27

최종수정 : 2025년06월07일 08:17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Sejong=NewsPim] Reporter Kyoungtae Yi = Established in 2021, CUBIG is a startup developing next-generation data solutions based on synthetic data technology that enables high-performanc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raining without personal information. With the bold approach of "solving data problems without accessing original data," they are gaining atten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y providing safe yet effective AI learning environments for high-risk industries such as finance, healthcare, public sector, and defense.

CUBIG's core technology is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First, DTS (Data Transform System) is a multimodal, domain-less synthetic data generation technology that creates high-quality synthetic data of various types including tables, text, images, and time-series data without accessing original data. This technology creates data without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Differential Privacy (DP), safely supplying datasets necessary for AI learning and analysis.

CUBIG's DataXpert is a no-code synthetic data-based agent platform that enables anyone to perform high-performance AI analysis and decision-making without sensitive real data. [Photo=CUBIG] 2025.06.03 biggerthanseoul@newspim.com

Second is DataXpert, a synthetic data-based agent platform. It enables anyone to perform high-performance AI analysis and decision-making without sensitive real data, and is designed to allow even non-developers to safely conduct advanced analysis through natural language-based queries and visualization reports. Through this, anyone from marketers to policy makers to general planners can gain insights based on synthetic data.

Third is LLM Capsule, a privacy solution that fundamentally block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ssues that can occur when using public LLMs (e.g., ChatGPT). This solution operates in users' laptop environments, detecting and encapsulating (de-identifying) sensitive information in document content in real-time to fundamentally prevent external transmission. Particularly, its ability to operate even in network-separated environments is leading to rapid adoption expansion in public institutions and financial institutions.

CUBIG's growth trajectory is also steep. They have currently completed applications for 8 domestic patents (1 registered) and 2 international patents, proving their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rough numer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 presentations and AI technology project implementations. They are also collaborating with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SKT, Hana Bank, Woori Bank, Naver Cloud, the military, and university hospitals, with some having completed actual PoC (Proof of Concept) and entering contract stages.

In terms of business model, CUBIG operates both SaaS (subscription) and On-Premise (installation) models in parallel, establishing a diversified revenue structure through AI analysis solution integration and synthetic data distribution platform operations. Particularly, through their data marketplace 'Azoo,' they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trade synthetic data, securing both scal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data-based business.

From a global strategy perspective, CUBIG targets European and North American markets as their main focus, drawing a blueprint to leap to become the world's number one private synthetic data platform through overseas sales activation using Google SEO, securing global data buyers, and expanding B2B partnerships.

In an era where AI operates based on data, CUBIG is creating new standards for AI ethics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realizing 'high-performance AI analysis without access to original data.' CUBIG's synthetic data technology is positioning itself as a core solution leading data innovation, beyond being a simple substitute.

biggerthanseoul@newspim.com 

 

[VivaTech 2025] ⑥ CUBIG « Concevoir l'avenir de la sécurité des données IA »

[Sejong=NewsPim] Journaliste Kyoungtae Yi = Créée en 2021, CUBIG est une startup développant des solutions de données de nouvelle génération basées sur la technologie de données synthétiques qui permet l'entraînement d'intelligence artificielle (IA) haute performance sans informations personnelles. Avec l'approche audacieuse de « résoudre les problèmes de données sans accéder aux données originales », ils attirent l'attention tant au niveau national qu'international en fournissant des environnements d'apprentissage IA sûrs mais efficaces pour les industries à haut risque telles que la finance, la santé, le secteur public et la défense.

La technologie principale de CUBIG se divise en trois domaines principaux. Premièrement, DTS (Data Transform System) est une technologie de génération de données synthétiques multimodale et sans domaine qui crée des données synthétiques de haute qualité de divers types incluant les tableaux, textes, images et données de séries temporelles sans accéder aux données originales. Cette technologie crée des données sans informations personnelles basées sur la Confidentialité Différentielle (DP), fournissant en toute sécurité des jeux de données nécessaires pour l'apprentissage et l'analyse IA.

Deuxièmement, DataXpert est une plateforme d'agents basée sur des données synthétiques. Elle permet à quiconque d'effectuer des analyses et prises de décision IA haute performance sans données réelles sensibles, et est conçue pour permettre même aux non-développeurs de mener en toute sécurité des analyses avancées grâce à des requêtes en langage naturel et des rapports de visualisation. Grâce à cela, quiconque, des marketeurs aux responsables politiques en passant par les planificateurs généraux, peut obtenir des insights basés sur des données synthétiques.

Troisième est LLM Capsule, une solution de confidentialité qui bloque fondamentalement les problèmes de fuite d'informations personnelles qui peuvent survenir lors de l'utilisation de LLM publics (par exemple, ChatGPT). Cette solution fonctionne dans l'environnement des ordinateurs portables des utilisateurs, détectant et encapsulant (désidentifiant) les informations sensibles dans le contenu des documents en temps réel pour empêcher fondamentalement la transmission externe. En particulier, sa capacité à fonctionner même dans des environnements séparés du réseau conduit à une expansion rapide de l'adoption dans les institutions publiques et les institutions financières.

La trajectoire de croissance de CUBIG est également abrupte. Ils ont actuellement complété les demandes pour 8 brevets nationaux (1 enregistré) et 2 brevets internationaux, prouvant leurs capacités technologiques grâce à de nombreuses présentations de papiers nationaux et internationaux et des implémentations de projets technologiques IA. Ils collaborent également avec diverses institutions incluant SKT, Hana Bank, Woori Bank, Naver Cloud, l'armée et les hôpitaux universitaires, certains ayant complété des PoC (Preuve de Concept) réels et entrant dans les phases de contrat.

En termes de modèle d'affaires, CUBIG opère les modèles SaaS (abonnement) et On-Premise (installation) en parallèle, établissant une structure de revenus diversifiée grâce à l'intégration de solutions d'analyse IA et aux opérations de plateforme de distribution de données synthétiques. Particulièrement, grâce à leur marché de données 'Azoo,' ils fournissent un environnement où quiconque peut échanger des données synthétiques, sécurisant à la fois l'évolutivité et la durabilité des affaires basées sur les données.

D'un point de vue stratégique global, CUBIG cible les marchés européens et nord-américains comme leur focus principal, dessinant un plan pour bondir vers devenir la plateforme de données synthétiques privée numéro un au monde grâce à l'activation des ventes à l'étranger utilisant Google SEO, la sécurisation d'acheteurs de données globaux et l'expansion des partenariats B2B.

À une époque où l'IA fonctionne basée sur les données, CUBIG crée de nouvelles normes pour l'éthique IA et la protection des informations personnelles en réalisant 'l'analyse IA haute performance sans accès aux données originales.' La technologie de données synthétiques de CUBIG se positionne comme une solution principale menant l'innovation des données, au-delà d'être un simple substitut.

biggerthanseoul@newspim.com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sponsorship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내란 특검 "박성재 영장 기각 납득 어렵다"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자 재청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박지영 특검보는 15일 브리핑에서 "법원의 결정은 존중돼야 한다고 생각하나 박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은 법무부 장관의 지위나 헌법적 책무, 사안의 중대성 등을 고려할 때 납득하기 어렵다. 특검은 신속히 법원의 판단을 다시 받는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특히 기각 사유로 언급한 피의자가 위법성을 인식하게 된 경위나 피의자가 인식한 위법성의 구체적 내용, 피의자가 객관적으로 취한 조치의 위법성의 존부나 정도에 대해 다툴 여지가 있고 충분한 공방을 통해 가려질 필요가 있다는 부분은 수긍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 선포 시 군으로 사회 질서를 유지할 상황, 비상계엄을 선포할 실체적 요건을 갖추고 있지 않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공지의 사실"이라며 "피의자가 객관적 조치를 취할 당시 비상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은 다툼의 여지가 없어 위법성 인식은 공방에 필요가 없는 명백한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특검은 추가 보강 수사 등에 대해선 조금 더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의) 위법성의 구체적인 내용이라든가 본인이 그 위법성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볼만한 다른 사실관계는 충분히 현출돼 있다"며 "위법성을 인식했다라고 볼만한 사전에 여러 가지 행위나 행태는 범죄 사실로도 그렇고 증거로도 제출이 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이나 하급자 추가 조사 가능성에 대해 "(증거를) 보완하는 조치도 저희가 생각해 볼 수 있겠다"며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지는 내부적인 논의를 통해 결정이 돼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hyun9@newspim.com 2025-10-15 12:24
사진
1달러 테더 '5700원·1600원' 제각각 거래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대표적인 달러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 가격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크게 널뛰었다. 한때 가상자산 시장이 흔들리자 1600원에서 5700원까지 오가며 심한 변동성을 나타낸 것이다. 달러와 1:1 연동돼 '안전성'을 강조했지만 정작 국내 투자자들에게는 불안정적인 자산이 된 셈이다. 14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전 6시쯤 업비트에서 거래되는 테더 가격이 1655원까지 치솟았다. 당시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이 급락했고 이에 따라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에 수요가 몰린 여파다. 빗썸에서 거래된 테더 시세창. [사진= 빗썸 갈무리] 테더는 달러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이다. 이때 달러/원 환율은 1436원이었지만 김치프리미엄이 10% 이상 붙으면서 테더 가격이 환율 이상으로 벌어졌다. 김치프리미엄은 국내와 해외거래소 간 가상자산 가격 차이를 의미한다. 같은 시각 빗썸에서는 테더 가격이 5755원까지 오르는 이상 급등 현상도 발생했다. 달러/원 환율을 상회한 것은 물론 업비트를 비롯한 다른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거래 가격 대비 3배 이상 뛰었다. 특히 빗썸의 경우 렌딩(코인 대여) 서비스 청산 과정에서 이 같은 급등 현상이 발생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빗썸의 렌딩서비스는 대여한 메이저 자산의 시세가 급등락해 자동상환 레벨에 도달하면 모두 시장가로 매도되는 구조다. 이후 확보된 원화로 대여했던 가상자산을 시장가로 매수해 상환하게 된다. 청산 과정에서 시장가 매수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테더 가격을 계속 밀어 올렸다는 관측이다. 테더 가격이 급격히 뛰면서 빗썸에서 테더를 대여한 일부 투자자들은 예기치 못한 청산 사태를 겪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 빗썸은 상환 매매 발생 시 시세 왜곡 상태를 방지하는 '도미노 청산 방지 시스템'의 작동 여부 등을 점검하고 후속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통상 달러 등 실물자산과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혀왔다. 테더 또한 국내 시장에서 달러 자산의 저장 및 거래 수단으로 활용도가 높게 평가됐다. 그런데 이번 변동성 장세에서 국내 거래소의 테더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급등, 사실상 '스테이블코인=안전성'이라는 개념이 깨진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테더(USDT) 는 스테이블코인이기 때문에 다른 코인 가격이 변하더라도 가치는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테더 수요가 높은 국내 하락장에는 1달러보다 가격이 높아지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며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파생상품을 사용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거래 청산을 막기 위해 추가 테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의 주의도 요구된다. 국내시장에서 테더를 포함한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공급 대비 수요가 순간적으로 크게 앞서면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이 또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관련해 이날 기준 빗썸 내 대여금액 1위 종목은 테더로 대여 금액은 933억원이 달한다. 이는 2위인 비트코인 대여금액(218억원)의 4배 수준이다. 코인 대여 서비스 상위 자산인만큼 변동성 위기 시 청산 위험도 높게 평가된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해외 거래소에서 가상자산 급등락이 발생할 때 국내 거래소에서 해당 가격변동이 100% 반영되지 않아 김치프리미엄 또는 역프리미엄이 발생하고 여기에는 테더도 포함된다"며 "이번 폭락 사태의 경우 국내 거래소의 원화 거래가격이 폭락을 전부 반영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김치프리미엄이 붙게 됐다"고 설명했다. romeok@newspim.com 2025-10-14 06: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