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에 금값 부담...트럼프의 한·일 관세 발표로 낙폭 제한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국제유가는 8월 OPEC+(석유수출국기구 및 동맹국들)의 예상보다 큰 증산 발표와 미국발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강한 수요 신호가 이를 상쇄하면서 7일(현지시간) 1% 넘게 상승했다. 금 가격은 달러 강세 부담으로 하락했으나 관세 경계감에 낙폭은 제한적이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9월물은 배럴당 1.28달러(1.9%) 상승한 69.58달러에 마감됐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8월물은 93센트(1.4%) 오른 67.9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 초반 유가는 OPEC+가 8월 하루 54만8000배럴의 증산에 합의했다는 소식에 아래를 향했고, 브렌트유는 67.22달러, WTI는 65.40달러까지 하락했다. 이번 증산 폭은 앞선 3개월간의 증산 폭인 하루 41만1000배럴을 상회하는 수치다.
![]() |
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사진=로이터] |
RBC 캐피탈 애널리스트들은 메모에서 "이번 결정으로 OPEC+ 8개국이 자발적으로 감축했던 하루 220만 배럴 중 약 80%가 시장에 복귀하게 된다"고 밝혔다. 다만 지금까지 실제 증산 규모는 계획보다 작았으며, 대부분의 공급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나왔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공급 증가보다 원유 수요 증가 기대감이 앞서면서 유가는 위로 방향을 바꿨다.
수요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듯, 사우디아라비아는 전날 아시아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8월 아랍 라이트(Arab Light) 원유의 공식 판매가를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인상했다.
삭소은행 상품전략 책임자 올레 한센은 "여름철 수요가 정점에 달하는 시기에 가격을 인상한다는 결정은 실물 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하다는 신호이며, 추가 배럴도 당장은 흡수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파트너에게 더 높은 관세율을 경고하는 첫 번째 서한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8월 1일부터 일본과 한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데, 이는 당초 예정됐던 7월 9일 시행 기한보다 미뤄진 것이다.
이 조치는 무역 파트너들에게 자국의 대미 수출품에 대한 경제적 타격을 완화할 협상 시간을 더 부여하며, 단기적으로는 EU 등 원유 소비국들의 수요 전망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마카이 마린 어드바이저스의 매니징 디렉터 제프리 맥기는 "미국의 무역 정책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현재 미국은 시행 시점을 늦추고 벌칙성 관세에서 한 발 물러서고 있다"며 "이러한 점이 4월 이후 이어졌던 수요 둔화 우려를 완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금값은 달러 강세 영향에 하락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 관련 경계감으로 낙폭은 제한됐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8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과 비슷한 3342.8달러에 마감됐고, 금 현물은 한때 1% 넘게 하락했다가 한국시간 기준 8일 2시 49분 전날보다 0.1% 내린 3332.62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0.5% 올랐다.
한·일 제품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발표 이후 투자자들은 백악관의 향후 무역 협상 발표를 기다리는 상황이다.
이번 주에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최근 통화정책 회의 의사록 공개와 여러 연준 인사들의 연설이 예정돼 있어,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추가적인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PBOC)은 6월에도 금 보유를 늘리며 8개월 연속 금을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요일 공개된 공식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
오안다 산하 마켓펄스의 애널리스트 자인 바우다는 "인민은행은 외환보유고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상당히 진행 중이며,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의 증가로 인해 이 같은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보고서에서 각국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고의 다변화, 달러 의존도 축소, 인플레이션 및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금을 매입하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