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드론의 항만 혁신...부산항의 도전과 기회
선박입출항 최적화 워킹그룹의 국제 협력 확대
[부산=뉴스핌] 남경문 기자 = 부산항만공사(BPA)는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사흘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제10회 세계 항만당국 대표자 회의(PAR)'에 참석해 주요 항만과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 및 디지털 전환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 |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제10회 세계 항만당국 대표자 회의(PAR)'에 참석해 '부산항의 디지털 전환 추진 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부산항만공사] 2025.07.11 |
PAR(Port Authorities Roundtable)은 2015년 싱가포르해사항만청이 발족한 글로벌 항만공사 협의체로, 한국에서는 부산항만공사가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는 오사카항, 부산항, 싱가포르항, 로테르담항, 함부르크항, LA항 등 전 세계 20개 주요 항만 대표가 참석했다.
송상근 사장은 '부산항의 디지털 전환 추진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며, 부산항이 단계적으로 스마트 항만 구축을 추진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세계은행이 우수사례로 선정한 '부산항 체인포털'과 환적 모니터링 시스템, 환적운송시스템, 전자인수도증 등 주요 기능을 소개했다. 부산항만공사의 디지털 전환 사례는 타 항만의 벤치마킹 모델로 주목받았으며, 정보 연계와 이해관계자 설득 과정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회의에서는 AI, 드론, 디지털트윈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항만 운영 혁신과 함께, 항만 인력 재교육,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 강화의 중요성도 논의됐다.
부산항만공사는 로테르담항만공사가 주도하는 선박입출항 최적화(PCO) 워킹그룹에 공식 참여하며, 디지털 기반 국제 협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