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3일 논평을 내고 국민주권 정부를 표방한 이재명 정부의 초대 내각 출범을 환영하며,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과 보건안보 확립에 가시적 성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하며, 국가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에 크게 환영한다"고 강조했다.
![]()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경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
특히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에 대해 "탁월한 전문성과 헌신적인 리더십으로 보건의료 분야에 지대한 기여를 해왔다"며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질병관리청장으로서 보여준 위기관리 능력과 소통력은 향후 복지부 수장으로서 난제들을 해결할 큰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협회는 정 장관이 취임식에서 밝힌 "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 투자 강화 및 보건의료 R&D 확대" 계획과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성장 체계 구축" 의지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또한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회, 전문가, 이해관계자 등과의 소통을 강조한 점에 큰 기대를 갖는다"며 "답은 현장에 있고, 산업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때 지속가능한 정책이 수립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협회는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유임된 것에 대해서도 "의약품 및 식품 안전 관리 체계의 안정적 구축과 불합리한 규제 개선, 민관 소통 확대 등 많은 성과를 거둬왔다"며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인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오 처장이 유임 이후 '정책이음 열린마당'을 통해 소비자, 환자, 산업계 목소리를 경청하며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정책 수립에 나서는 점에 대해서도 산업계는 고무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협회는 "미국과 중국 등이 주도하는 제약바이오산업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골든타임을 맞았다"며 "지금이야말로 민관이 협력해 역량을 총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은 우수한 인재, 신약 개발 역량, 세계적 수준의 제조 인프라와 AI 융복합 기술 등 강점을 갖추고 있다"며 "2024년 기준 신약 후보물질 3233개로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주요 기업들이 매출의 15% 이상을 R&D에 투자하며 블록버스터 창출을 앞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기술수출 누적액이 12조 원을 돌파한 점도 언급했다.
협회는 "정부의 육성·지원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제약바이오 강국 진입은 현실이 될 것"이라며 "산업계도 국민 건강 증진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윤리경영 확립 등 국민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