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센트 재무장관, 긴급 일정 사유로 돌연 연기
정부 "오늘 9시 美 연락"…구 부총리 출국 취소
"한미 재무장관 회의 언제 잡힐지 확정 안 돼"
美, 한미 관세협상 앞두고 길들이기 들어가나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오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재무·통상수장 간 '2+2 통상협의'가 무산되면서 미국 측이 한국 정부를 향해 압박 수위를 올리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기자단에 "미국과 예정되었던 7월 25일 2+2협상은 미국 베센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공지했다.
기재부는 "미국 측은 조속한 시일 내에 개최하자고 제의했고, 한미 양측은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이날 오전 출국 예정이었던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방미길도 무산됐다. 미국 측은 오전 9시경에 우리 정부로 연락을 취했고, 베센트 재무장관의 일정 사유에 대해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 |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2일 한국에 기본관세 10%와 국가별 추가관세 15%를 더해 총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오는 8월 1일까지 유예하며, 한미 양국은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다.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는 무산됐지만, 통상분야 협의는 계속 진행한다.
강영규 기재부 대변인은 "김정관 산업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 측과의 협의는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미국 측의 통보를 두고 일각에서는 미국이 한국을 대상으로 길들이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은 지난 23일 일본과 관세협상을 진행하고, 일본으로 자국 농산물 시장을 개방하도록 하는 등 미국에 유리한 조건을 끌어냈다.
미국은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를 종전 25%에서 15%로 10%포인트(p) 낮추기로 합의했다.
한국과 일본은 대미 수출구조가 비슷하다. 이에 미국이 우리 정부를 대상으로 일본과 같은 성과를 올리기 위해 재무장관 참석을 취소하는 등 공세 수위를 올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흑자액은 660억달러로 미국 무역적자국 8위에 기록됐다. 일본의 대미 흑자액은 685억달러로 우리보다 한 단계 위인 7위에 위치했다.
일본이 먼저 상호관세를 15%까지 끌어 내린 만큼, 우리나라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하지 않으려면 15%의 관세율을 맞춰야 한다.
이에 따라 구윤철 경제팀은 한미 통상협의를 통해 관세율을 일본과 비슷한 15% 내외로 끌어내리는 걸 일차 목표로 세웠다.
한미 재무장관 간의 회담이 무산되면서 차후 일정도 불투명해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한미 재무장관 회담이 언제 잡힐지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며 "미국 측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