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총동창회 성무안보연구소 안보학술세미나
'항공우주무기체계, K-방산 상생협력' 기조연설
이진익 ADD 1원장 "특수목적 위성기술 필요"
도윤희 방사청 담당관 "국방첨단전략산업 지정"
오병후 군수품협회장 "중소기업 기술 활용해야"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신익현(공사 32기) LIG넥스원 사장은 24일 "기존 국방획득관리제도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중심에서 운용중심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신 사장은 "사용자와 개발자의 소양을 모두 지닌 인재 육성과 K-방산의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밸류체인 정립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신 사장은 이날 공군사관학교 총동창회 부설기관인 사단법인 성무안보연구소가 공군호텔에서 연 5회 안보학술세미나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의견을 제시했다.
![]() |
원인철(맨 앞줄 왼쪽 일곱번째) 공군사관학교 총동창회장과 차준선(여섯번째) 공군사관학교장, 정경두(네번째) 전 국방부 장관, 부승찬(다섯번째) 더불어민주당 국회 국방위원회 간사 등 주요 참석자들이 24일 서울 공군호텔에서 열린 5회 안보학술세미나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공군] |
이번 세미나는 '항공우주무기체계 중심, K-방산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상생 협력 방안' 주제로 열렸다. 공사 출신인 국회 국방위원회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부승찬(공사 43기) 국회의원과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축사, 각 분야 전문가 발제와 좌담회, 청중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합참과 공군,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ADD), 방위산업 업체, 연구관 등 국방안보와 방산 전문가, 미래 공군 주역인 공사 생도들이 함께했다.
이진익 ADD 1기술연구원장은 "우주가 이미 전쟁영역에 포함됨에 따라 우주무기체계 개발 여건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미래 우주감시정찰 기술과 우주 임무 확장을 위한 특수목적 위성기술, 통합 관제와 비상 대응을 위한 지상체 기술과 다양한 발사체 기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도윤희 방사청 미래방위사업전략 담당관은 "한국의 방산 발전을 위해서는 국방첨단전략산업 지정을 통해 세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 담당관은 "방산 소부장 경쟁력 확보와 글로벌 공급망을 강화하고 기존 획득절차와 방산원가 제도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태규(소장) 공군 기획관리참모부장은 "공군의 미래전력 구축을 위한 차세대 방산 협력 방안으로 민간 기술의 신속 적용을 위한 공군 플랫폼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장은 "민간 혁신 기술을 조기에 식별하기 위한 공군 전문조직이 필요하고 무기체계 기획 초기 단계부터 공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민군 파트너십 문화 조성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병후 한국군수품 수출협회장은 "현재 해외 방산시장에서 K-방산의 인기 비결과 국내 방산 대기업의 세계 시장 진출에 비해 중소기업이 놓인 현실적 제약이 있다"고 지적했다. 오 회장은 "한국 중소기업들이 개발한 좋은 방산 기술 활용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의 정책 개발과 함께 방산 대기업과의 동반 성장을 통한 상생이 매우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종선 성무안보연구소장은 "K-방산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수출 국가 다각화와 수출 무기체계 다변화, 기술 자립과 기술 협력 국가 확대, 해외 경쟁 심화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소장은 "어느 무기체계보다도 운용이 어렵고 힘든 항공우주무기체계를 운용해야 하고 운용자의 정점에서 최종 의사결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 더 열심히 배우고 노력해야 한다"고 공사 생도들에게 당부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