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건강패널조사 추적조사 발표
남학생 궐련 사용률 2.12%→5.50%
학년 오를수록 미디어 흡연·음주 노출↑
고등학교 2학년 60.8% 음주 경험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청소년 흡연·음주 등 건강행태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악화하는 가운데, 여학생의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이 처음으로 궐련 사용률을 넘어서는 변화가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이같은 내용의 '2024 청소년건강패널조사 추적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청소년건강패널조사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등 청소년의 건강행태 변화를 파악하는 조사다. 작년 조사는 1~6차 연도에 모두 참여한 3864명을 대상으로 했다.
◆ 여학생 담배 1위, 궐련→액상형 전자담배…남학생 궐련 사용 2.6배 급등
청소년은 학년이 오를수록 궐련·액상형 담배를 모두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여학생의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은 처음으로 궐련사용률을 뛰어넘었다. 2023년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액상형 전자담배사용률은 2023년 0.94%에서 2024년 고등학교 2학년으로 진학하면서 1.54%로 올랐다.
궐련사용률도 2023년 1.19%에서 2024년 1.33%로 늘었지만, 액상형 전자담배사용률보다 낮은 수치다. 궐련형 전자담배는 2023년 0.24%에서 0.32%로 올랐다.
![]() |
담배제품별 현재사용률 [자료=질병관리청] 2025.07.29 sdk1991@newspim.com |
반면 남학생의 경우 궐련사용률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궐련사용률은 2.12%였으나 고등학교 2학년으로 진학한 2024년 5.50%로 2.6배나 늘었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은 2023년 1.19%에서 2024년 3.57%로 늘었다. 궐련형 전자담배사용률도 2023년 0.65%에서 1.67%로 증가했다.
음주경험도 학년이 올라가면서 늘었다. 평생음주경험률(모금기준)은 초등학교 6학년 36.4%에서 고등학교 2학년 60.8%로 증가했다. 평생음주경험률(잔기준)은 초등학교 6학년 시기 7.5%에서 고등학교 2학년 33.7%로 늘었다. 현재음주율은 초등학교 6학년 시기 0.7%에서 고등학교 2학년 8.3%로 증가하였다.
음주를 처음으로 시작한 경우를 보면 청소년 48.9%는 명절 차례 후 가족·집안 어른의 권유라고 답했다. 맛이나 향이 궁금해서 19.7%, 실수로 8.2%, 친구가 마셔보라고 해서 6.7%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어린 시절의 단순한 한두 모금의 음주 경험이 청소년의 음주 시작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며 "가족과 주변인의 음복 음주를 가볍게 권하는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학년 오를수록 흡연·음주 예방 교육 줄고…미디어 흡연·음주 노출 늘어
질병청은 청소년 흡연·음주 증가는 가족 간 건강습관 관련 대화나 예방 교육 등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부모와 매일 식사하는 빈도는 초등학교 6학년 66.3%에서 고등학교 2학년 22.2%로 대폭 줄었다. 건강습관 관련 대화를 자주 한다는 비율도 초등학교 6학년 58.4%에서 고등학교 2학년 37.7%로 감소했다.
최근 12개월 내 학교에서 흡연·금연 교육을 실시한 비율도 줄었다. 흡연·금연 교육 실시 비율은 초등학교 6학년 95.9%에서 고등학교 2학년 68.6%로 줄었다. 음주 예방교육도 초등학교 6학년 75.4%에서 고등학교 2학년 45.2%로 감소했다.
반면 미디어를 통한 흡연장면 노출은 초등학교 6학년 39.2%에서 고등학교 2학년 60.4%로 증가했다. 음주장면 노출도 초등학교 6학년 56.1%에서 고등학교 2학년 70.7%로 증가했다.
![]() |
[자료=질병관리청] 2025.07.29 sdk1991@newspim.com |
한편 식생활 습관은 고학년으로 진급할수록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다. 주 5일 이상 아침식사 결식률은 17.9%에서 33%로 늘었다. 주 3회 이상 패스트푸드 섭취율은 20.9%에서 32.1%로 늘고 주 3회 단맛 음료 섭취율도 50.9%에서 66.6% 상승했다.
반면 1일 1회 이상 과일섭취율은 35.4%에서 15.5%로 줄었다. 1일 3회 이상 채소섭취율도 18%에서 6.8%로 감소하고 1일 1회 우유 또는 유제품 섭취율은 45.7%에서 18.4%로 반토막 났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청소년의 담배 제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학생의 경우 기존의 궐련보다 액상형 전자담배를 더 선호하는 양상이 뚜렷이 나타났다"며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해 제품 유형별 규제 강화와 정책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