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미국이 유럽연합(EU)과 맺은 15% 관세 합의에는 EU의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의약품과 반도체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백악관은 현지시간 28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팩트 시트(Fact Sheet)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균형 잡힌 무역 전략의 일환으로, EU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과 의약품, 반도체를 포함한 대미 수출품에 15%의 관세를 미국에 납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철강과 알루미늄, 구리에 대한 품목 관세는 "변함이 없다"며 "EU는 해당 품목에 계속 50%의 관세를 납부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양측은 해당 제품의 공급망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는 점도 알렸다.
앞서 지난 2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무역협정에 합의했다.
미국의 EU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이달초 서한 통보 때의 30%에서 15%로 낮아졌고, 자동차 관세율도 직전 27.5%에서 15%로 인하됐다. 여기에 더해 EU의 반도체와 의약품도 15% 관세율을 적용받는 품목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두 정상은 '전략적 품목'에 대해서는 상호 무관세에 합의했는데, 모든 항공기 및 관련 부품과 특정 화학 제품, 특정 복제약(generics), 반도체 장비, 특정 농산물 및 천연자원과 핵심 원자재가 (상호 무관세) 적용 대상이라고 EU측은 설명했다.
![]()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과 EU산 상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무역협정을 타결하고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27일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를 둔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를 2주 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는데, 백악관의 팩트 시트가 공지한 대로면 EU산 반도체 제품은 해당 품목관세 대상에서 제외돼 15%의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EU는 무역합의(관세율 인하) 대가로 750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6000억달러의 대미 투자를 집행하기로 약속했는데 백악관은 그 집행 방식과 시기도 분명히 했다.
백악관은 팩트 시트에서 "EU가 약속한 대미 투자는 EU 기업들이 매년 미국에 투자하는 1000억달러 이상의 기존 투자에 추가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대미 투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동안 이뤄질 예정이라고 했다.
또한 약속한 미국산 에너지 제품의 구매도 2028년까지, 즉 트럼프 임기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EU 측은 미국 수출업체, 특히 중소기업이 EU에서 사업을 영위할 때 직면하는 부담스러운 규제 요건 등 다양한 비관세 장벽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EU의 비관세 장벽과 관련해서도 백악관은 "양측이 미국산 돼지고기와 유제품에 대한 위생 인증서 요건을 간소화하는 것을 포함해 식품 및 농산물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비관세 장벽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등 제 3국이 EU를 경유해 우회수출에 나서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양측은 강력한 원산지 규정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소개했다.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