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국 상승 거래 44.4%, 하락 거래 41.8%…수도권 약세 두드러져
"수도권 거래 위축 지속 시 가격 조정 흐름 뚜렷해질 수도"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지난 6월 27일 발표된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동력이 약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6월(46.5%) 대비 2.1%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 |
이러한 하락 전환 흐름은 수도권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7월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p 줄었고,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세부 지역별로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하고,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늘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었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증가했다. 반면 인천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지방 아파트 시장은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세종시는 하락 전환 폭이 크게 나타났다. 7월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 대비 7.2%p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9.9%p 증가한 45.2%를 기록했다.
직방은 수도권과 지방 간 거래 흐름의 차이가 수도권에 집중 적용된 6·27 부동산 대책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했다. 주택담보대출 6억원 한도 제한 등 고강도 대출 규제가 서울·경기 등 핵심 지역의 매수 심리를 위축시켰다는 설명이다.
직방은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면서도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