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상장 16년만에 증시 퇴출이 결정된 '중국헝다(中国恒大,에버그란데)'는 부동산 레버리지를 통한 초고속 성장 중국경제의 어두운 그늘을 드러내는 압축적인 사례다.
중국헝다는 부동산 개발이 경제 성장을 뒷바침하던 시기, 쉬자인(許家印) 회장의 문어발 확장 경영을 통해 초고속 성장가도를 달렸고, 경영 확장이 정점을 찍은 이후에는 자산 해외 은닉 등을 통한 오너 경영진의 모럴헤저드가 극에 달했다.
홍콩 증권거래소가 8월 25일 오전 9시를 기점으로 상장 폐지를 결정함에 따라 중국헝다 주식은 하루 아침에 휴지조각이 됐고 주주들은 알거지 신세로 전락했다.
상장 폐지에 따른 피해는 일반 주주외에도 채권자 투자자들, 부동산 청약자들이 모두 떠안게 됐다. 헝다의 부채만해도 약 2조위안(약 400조원)으로 천문학적인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
뉴스핌 기자는 2021년 말 광둥성 선전 본사로 중국헝다 부도 사건 취재를 갔을 때 본사 건물 인근 지하철을 폐쇄한 채 경찰들이 채권자와 청약 피해자들의 집회를 저지하는 현장을 목격했다.
중국헝다 대주주인 쉬자인 회장 가족은 부도 처리 전후와 청산 과정에서 막대한 자산을 해외에 도피 은닉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본토와 홍콩 증권업계 일각에서는 중국헝다의 몰락에 대해 '중국의 과도한 부동산 레버리지 성장 정책 과정에서 쉬자인 부부가 공모해 벌인 세기적인 부동산 사기극'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헝다의 1대 주주는 쉬자인 회장이 100% 주식을 보유한 신신(鑫鑫, 불같이 흥하다)으로 57.78% 주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쉬자인의 부인 딩위메이(丁玉梅)가 지배하는 회사 준룽(均荣, 공평하게 번영)도 중국헝다의 지분 5.99%를 보유한 대주주였다.
중국헝다, 홍콩 이름 에버그란데는 2009년 11월 5일 홍콩증시에 상장됐다. 상장 첫날 중국헝다의 시가총액은 700억 홍콩달러를 돌파해 세계 자본시장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당시는 중국 대륙에서 부동산 개발이 불을 뿜을 때였고 부동산은 가장 핫한 투자 섹타였다.
지방 정부가 땅을 내놓으면 은행이 막대한 자금을 대고,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깃발을 꽃고 빌딩을 올리면 청약 대기줄이 수백미터씩 늘어지고 밤을 세우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이런 방식의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는 장기간에 걸쳐 중국경제에 두자릿수 성장이란 선물을 안겨줬다.
높은 레버리지와 천문학적인 매출로 중국헝다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쉬자인 회장은 문화·관광, 의료, 농업·축산, 금융, 자동차, 심지어 축구 구단 까지 문어발 확장을 펼쳤다.
2017년 10월, 중국헝다 시가총액은 4144억 홍콩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쉬자인 회장은 순자산 2900억 위안으로 '중국 최고 부자'에 등극했다.
에르메스 벨트를 차고 종종 걸음을 하며 기자들의 인터뷰 공세를 받는 쉬자인 회장은 출세한 재계인사의 대표적인 아이콘이었다.
중국헝다 몰락의 검은 그림자는 코로나19 팬데믹과 비슷한 시기에 찾아왔다. 중국헝다는 2020년 매출 5600억 위안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뒤 2021년 7월 부터 부채의 위기에 빠졌고 파멸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쉬자인 회장을 비롯한 '헝다 주식회사'의 최고위 경영진들은 부도 사태를 전후로 이미 막대한 부를 거머쥐었다. 쉬자인 회장의 경우 배당 잔치를 통해 매년 약 500억위안의 천문학적인 수익을 챙겼다. 그들은 이런 돈들을 몰래 해외로 빼돌리기 시작했다.
쉬자인 회장은 딩위메이와 위장 이혼을 하고 막대한 재산을 그녀에게 넘긴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이들 부부가 불탈법적인 자산 이전을 통해 수조원~수십조원에 달하는 엄청난 자금을 해외로 도피 은닉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쉬자인 부부의 재산이 얼마인지 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홍콩법원은 수감된 쉬자인 회장, 그리고 그의 부인 딩위웨이 등 관계자의 자산에 대해 뒤늦게 동결조치를 내렸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