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독립운동가 80인 중 마지막 공개 예정
왕산 허위 손자, 한국 통일의 중요성 언급
계봉우 손녀, 할아버지의 꿈과 감사의 마음 전해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4일 독립유공자 후손 7명을 초청해 감사의 뜻을 전하고 독립운동 정신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4일 독립유공자 후손 7명을 초청하여 감사의 뜻을 전하고, 독립운동 정신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사진=경기도] |
이들은 국외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으로 연해주 한인사회의 교육자 계봉우 선생의 손녀 계 다찌야나(75)와 외증손자 박유리(50), 증손녀 계 올가(32), 외 현손자 김 드미트리(25), 의열단원 이동화 선생의 외손녀 주 용용(68), 외 현손 며느리 손 추분(45), 왕산 허위 선생의 손자 허 블라디슬라브(75) 씨로, 각각 카자흐스탄, 중국, 키르기스스탄에 거주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김종진 선생의 손자인 김호동 광복회 경기지부장, 오희옥 지사의 아들인 김흥태 씨, 안중근 의사의 외 현손녀 최수아 어린이와 그 부친 최재황 씨가 참석했다.
김 지사는 인사말에서 관저로 초대하는 것이 특별한 환영의 표현임을 설명하며,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이어 그는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라며 경기도가 역사 바로 세우기에 앞장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독립지사의 후손을 초청해 정성을 모아 식사를 나눴다"라며 경기도 독립기념관 설립 약속과 함께 독립운동가 선정 계획을 밝혔다.
왕산 허위 선생의 손자 허 블라디슬라브(75) 씨는 "광복절은 가장 중요한 날"이라며 한국 통일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계봉우 선생의 손녀 계 다찌야나(75)씨는 "할아버지는 한국에 오고 싶었지만 시대적 상황으로 그 꿈을 이루지 못했다"라며 깊은 감사를 표현했다. 주 용용(68)씨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 덕분에 성대한 광복 80주년을 맞이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이날 초청된 독립운동가 중 계봉우(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 선생은 북간도·연해주에서 항일 운동을 펼쳤고 이동화(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 선생은 의열단원으로 활동했다. 허위(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선생은 을사늑약 후 의병 투쟁을 전개했다.
간담회 중 김 지사는 80주년 광복절 경축식 초대장을 전달했고, 광복회 경기지부장은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도자기를 선물했다. 오찬장에는 무궁화가 배치돼 의미를 더했다. 오찬 메뉴로는 편수와 골동반, 단호박 소불고기 등이 제공됐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4일 독립유공자 후손 7명을 초청하여 감사의 뜻을 전하고, 독립운동 정신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사진=경기도] |
김 지사는 오찬을 마무리하며 대한민국과의 지속적인 인연을 바란다고 했다. 또한 경기도는 독립유공자와 애국지사 후손들이 존경받을 수 있도록 역사 바로 세우기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15일 오전 10시 경기아트센터에서 개최되는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는 독립운동가 후손 7명을 비롯한 약 1천 명이 참석해, 독립운동가 80인 가운데 마지막 세 분의 독립운동가가 공개될 예정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