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광복 80주년 경축사, 대북·대일 메시지 발신
대북 정책 "체제 존중, 일체 적대행위 할 뜻 없어"
한일 관계 "과거 직시하되 미래 지향적 길 모색"
국내 정치 "분열 넘어 상생의 새 정치문화" 촉구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광복 80주년인 올해가 대립과 적대의 시대를 끝내고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함께 열어갈 적기"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15 광복절 80주년 경축식 경축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먼저 이 대통령은 대북 정책과 관련해 "남북 간 신뢰를 회복하고 단절된 대화를 복원하는 길에 북 측이 화답하길 기대한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15 광복절 80주년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KTV] |
이 대통령은 "낡은 냉전적 사고와 대결에서 벗어나 평화로운 한반도의 새 시대를 열어가야 할 때"라고 다시 한번 북 측에 대화를 제의했다.
또 이 대통령은 "남과 북은 서로의 체제를 존중하고 인정하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의 특수관계"라며 "남북기본합의서에 담긴 이 정신은 6·15 공동선언, 10·4 선언, 판문점 선언, 9·19 공동선언에 이르기까지 남북 간 합의를 관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기존 합의를 존중하고 가능한 사안은 바로 이행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남북 간 우발적 충돌 방지와 군사적 신뢰 구축을 위해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단계적으로 복원해 나가겠다"고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싸워서 이기는 것보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보다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 즉 평화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숱한 부침 속에서도 이어지던 남북 대화가 지난 정부 내내 끊기고 말았다. 엉킨 실타래일수록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풀어야 한다"고 북 측에 거듭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실질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일관되게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지향적인 대일 메시지도 발신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이자 한일수교 60주년이다.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라며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원칙으로 셔틀외교를 통해 자주 만나고 솔직히 대화하면서 일본과 미래지향적인 상생협력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일본 정부가 과거의 아픈 역사를 직시하고 양국 간 신뢰가 훼손되지 않게 노력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럴 때 서로에게 더 큰 공동 이익과 더 나은 미래가 펼쳐지리라 생각한다"고 일본 측에 촉구했다.
국내 정치와 관련해 분열의 넘은 상생의 새로운 정치문화를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낡은 이념과 진영에 기초한 분열의 정치에서 탈피해 대화와 양보에 기초한 연대와 상생의 정치를 함께 만들어갈 것을 이 자리를 빌려 거듭 제안하고 촉구한다"며 "이제 정치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치가 사익이 아닌 공익 추구의 기능을 회복하고 국민이 정치를 걱정하는 비정상적 상황을 끝낼 때 우리 안에 자리 잡은 갈등과 혐오의 장벽도 사라질 것"이라고 역설했다.
pc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