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참의원 선거 패배 후 자민당 내에서 거센 퇴진 압박을 받고 있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정면 돌파를 택했다.
이시바 총리는 2일 열린 자민당 양원 의원 총회에서 사임 의사 대신 계속 집권 의지를 거듭 밝히며 정권 연속을 선언했다.
하지만 집권 기반은 이미 크게 흔들린 상태다. 자민당 내부에서는 조기 총재 선거 실시 요구가 확산되고 있으며, 오는 8일 열릴 총재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을 기점으로 이시바 총리의 정치적 운명이 판가름날 전망이다.
![]()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조기 총재 선거, 사실상의 퇴진 권고
현재 자민당 내 최대 쟁점은 조기 총재 선거 시기다. 규정상 당 소속 국회의원과 전국 47개 도도부현 연합 대표가 과반수 요구를 모으면 총재 선거가 조기 개최된다. 이는 곧 총리에 대한 '퇴진 권고'와 다름없다.
이시바 총리 측은 최근 내각 지지율이 반등 조짐을 보였다는 점을 들어 정권 연속 가능성에 희망을 걸고 있다. 하지만 당내 분위기는 싸늘하다. 이미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상 등 유력 인사들은 "마음속으로는 결정했다"며 총재 선거 조기 실시 쪽으로 기울었음을 시사했다.
총리가 재출마하려면 추천인 20명을 확보해야 하는데, 지금의 고립된 정치적 상황에서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날 총회에서 이시바 총리는 "이시바라면 바꿔줄 것이라는 기대를 저버렸다"고 공개적으로 사과했다. 동시에 "지위에 연연하지 않지만, 적합한 시기에 결단하겠다"고 말해, 당내 압력에 일정 부분 응답하면서도 즉각 사퇴는 피했다.
이는 조기 총재 선거 논의가 본격화하기 전까지 최소한의 정치적 시간을 벌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 왜 총재 선거가 중요한가
일본은 내각제 국가지만, 총리는 집권당 총재가 맡는 것이 관례다. 자민당은 전후 일본 정치의 '1당 지배 체제'를 사실상 유지해 왔다. 따라서 자민당 총재 선거는 곧 총리 교체를 의미한다.
이시바 총리는 자민당 내에서 군사·안보 전문가로 이름을 알려 왔다. 그러나 그는 오랜 기간 '비주류'로 평가돼 왔으며, 주류 파벌의 지지를 폭넓게 얻지 못했다. 오히려 당내 개혁파 이미지로 대중적 인기가 있었고, 이 때문에 총재 선거 때마다 도전했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지난 총재 선거에서 승리하며 총리 자리에 오른 것도 '변화를 기대하는 민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취임 이후에는 소수 여당이라는 제약 속에서 과감한 개혁보다는 타협에 치중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곧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 수 없다"는 당내 불만으로 이어졌다.
![]() |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사진=블룸버그] |
◆ 8일이 갈림길
자민당 총재선거관리위원회는 오는 8일 조기 선거 실시 여부를 확정한다. 만약 총재 선거가 앞당겨진다면 이시바 총리가 재출마할 가능성은 낮고, 사실상 퇴진 수순이 불가피하다.
반대로 조기 선거가 무산되면 그는 당분간 정권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리더십 위기는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는다.
이시바 총리가 선택한 '책임론 돌파' 전략이 효과를 낼지, 아니면 8일을 기점으로 정권이 새로운 국면을 맞을지는 이제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일본 정치의 불안정성은 다시 한 번 고조되고 있다.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