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ECA 전시회서 전략 제품 공개
차세대 ESS·DC 솔루션 전면 배치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LS일렉트릭은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ESS) 플랫폼과 직류 전력 솔루션을 앞세워 북미 신재생에너지와 데이터센터 시장을 동시에 공략한다.
LS일렉트릭은 현지시간 9일부터 11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RE+ 2025'와 13일부터 15일까지 시카고에서 열리는 'NECA 2025'에 참가한다고 8일 밝혔다.
![]() |
LS일렉트릭 'RE+ 2025' 전시장 조감도 [사진=LS일렉트릭] |
'RE+ 2025'에서 20부스 규모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차세대 ESS 플랫폼 ▲초고압 변압기 ▲직류 솔루션을 공개한다.
차세대 ESS 플랫폼은 전력전자 기반 인버터 제조 역량을 토대로 독자 개발했다. 전력변환 핵심 부품인 펩(PEBB)을 200kW 단위로 모듈화해 블록처럼 쌓아 설치할 수 있고 단위별 독립 운전도 가능하다.
글로벌 ESS 시장은 2023년 44GWh에서 2030년 506GWh로 성장할 전망이다. 미국 시장은 노후 인프라 교체와 재생에너지 확대, 데이터센터 전력망 투자 수요가 겹치며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미국 ESS 시장은 지난해 1067억 달러에서 2032년 2635억 달러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NECA 2025'에서는 16부스 규모로 ▲데이터센터 전용 교류·직류 전력기기 ▲국내 최초 UL 인증 배전 솔루션을 전시한다. 현지 전력, 전기공사 업체와 협력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북미 데이터센터 맞춤형 하이엔드 전력기기를 전면 배치한다. 특히 LS일렉트릭의 직류 전력 솔루션이 사업 관계자의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LS일렉트릭은 최근 데이터센터 전력솔루션 공급을 넘어 전기 공급용 마이크로그리드 배전기기 사업으로 확장했다. 올해 북미 빅테크 데이터센터 수주 금액만 약 4000억원에 이른다.
UL 인증 배전반 실물도 공개한다. LS일렉트릭은 10여년 전부터 UL 제품을 개발해 국내 중전기업 중 유일하게 인증을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LG, 삼성, SK, 현대차 등 주요 기업의 북미 현지 공장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을 수주하며 사업을 확대해왔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세계 최대 전력산업 격전지 미국에서 빅테크로부터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신재생·전력 솔루션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세계 스마트 전력시장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