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정보 표시' 미흡…출하농업인에 청년농·귀농인 없어"
[무안=뉴스핌] 권차열 기자 = 김재철 전남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의 허술한 관리 실태를 지적하고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23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김 의원은 제393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로컬푸드 직매장은 인근 시·군뿐 아니라 제휴를 맺은 타 지역 농산물도 취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반드시 생산 정보를 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 점검 자료를 들어 남해산 마늘과 생산 정보가 불분명한 상품, 특정 회사 감미료 등이 일부 직매장 판매대에 진열된 사례를 지적했다.
![]() |
전남도의회 김재철 의원(더불어민주당·보성1). [사진=전남도의회] 2025.09.23 chadol999@newspim.com |
이어 "지역 농산물이 함께 진열돼 있으나 생산지 표기가 미흡하고 특정 업체 제품이 다수 비치된 가운데 매대 상당 부분이 비어 있는 경우도 있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전남도가 제출한 자료를 근거로 "출하 농업인에게 선택권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수수료율 운영의 불합리성을 지적했다. 전남도 내 37개 로컬푸드 직매장의 수수료율은 가공·축산물 기준 최저 10%, 최고 20%로 차이가 컸다.
또한 농산물 출하 수수료율은 최고 15%, 최저 10%였으며 농업인 참여 규모도 제각각이었다. 출하 농업인이 500명 이상인 직매장은 6곳에 그친 반면 100명 미만은 15곳, 이 중 50명 미만 직매장은 5곳이었다. 청년농업인이나 귀농인이 포함된 직매장도 17곳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출하 농업인 풀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공개 모집을 통해 확대해야 한다"며 "청년농과 귀농인의 출하를 권장하고, 직매장이 적정 수수료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라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직매장이 적정 수준의 수수료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며 "청년농·귀농인에게 필요한 교육을 진행하고 지역 농산물 판로 확대가 가능하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chadol9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