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으로 추정돼
최근 5년 간 2439건 발생·재산피해 1343억원
열 폭주·재발화 현상 등으로 진압 어려워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전국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잇따르는 가운데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의 원인 또한 배터리 발화로 추정되고 있다. 민간에 이어 국가 인프라까지 화재 피해를 입으면서 생활 속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리튬배터리의 안전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27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쯤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당국은 10시간 만인 이날 오전 6시 30분쯤 불길을 잡았다. 현장에 있던 40대 남성이 안면부 및 팔에 1도 화상을 입었으며 100명은 자력으로 대피했다.
![]() |
리튬배터리 [사진=셔터스톡] |
이번 화재로 인해 국민신문고와 모바일 신분증, 우편 시스템 등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 정부는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대국민 파급효과가 큰 주요 서비스 장애부터 신속히 복구하겠다고 밝혔으나, 복구 착수 시점은 미정인 상태다.
국정자원 화재의 원인은 리튬배터리로 지목됐다. 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는 작업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이다. 전동킥보드와 휴대용 배터리 등을 중심으로 제기됐던 리튬배터리 발화가 공공 인프라까지 확산하면서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6월까지 배터리 화재는 총 2439건 발생해 사망 7명, 부상 125명이 발생했다. 같은 기간 재산피해는 1343억6591만 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1년 319건(부상 11명) ▲2022년 345건(부상 20명) ▲2023년 359건(사망 1명·부상 17명) ▲2024년 543건(사망 3명·부상 35명) ▲2025년 상반기 300건(사망 2명·부상 21명)이었다.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올해는 상반기에만 300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76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천(105건, 피해액 267억 원), 울산(33건, 피해액 167억 원), 전남(180건, 피해액 169억 원) 등 산업단지가 밀집한 지역에서 큰 피해가 집중됐다. 서울에서도 179건이 발생해 9명이 다쳤다.
문제는 리튬배터리의 화재의 경우 일반 화재와 달리 진압이 어렵다는 것이다. 내부 온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화학 반응이 스스로 가속되며 순간적으로 수백 도까지 치솟아 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열 폭주 현상과 재발화 가능성 등이 특징으로 꼽힌다.
김기선 대전유성소방서장은 이날 화재 현장 브리핑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특성상 진화에 애로사항이 있어 장시간 진압이 불가피했다"며 "리튬이온배터리를 정확하게 진화할 수 있는 것은 다량의 물로 냉각 소화를 하는 것으로, 서버에 피해가 없도록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