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와 글로벌 AI 인프라 협력 의향서 체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초고성능 메모리 공급
AI 3대 강국 도약 비전 구체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이 오픈AI와 글로벌 인공지능 인프라 구축을 위해 손을 잡았다. 삼성은 초고성능 메모리와 데이터센터 역량을 앞세워 오픈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본격 합류한다. 이는 글로벌 AI 인프라 주도권 경쟁에서 한국 기업이 중심 무대로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동시에 정부가 추진하는 'AI 3대 강국 도약' 전략과 맞물려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샘 올트먼 OpenAI 대표와 '글로벌 AI 핵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상호 협력 LOI(의향서) 체결식'에서 악수하는 모습. 삼성은 OpenAI의 전략적 파트너사로서 반도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해양 기술 등 각사의 핵심 역량을 결집시켜 전방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사진=삼성전자] |
◆삼성, 오픈AI와 글로벌 AI 인프라 동맹
삼성이 1일 서울 서초사옥에서 오픈AI와 글로벌 인공지능 인프라 협력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삼성전자, 삼성SDS,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등 4개 계열사가 참여했다. 삼성은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해양 기술 역량을 모아 전방위 협력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체결식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이준희 삼성SDS 사장이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오픈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필요한 고성능 저전력 메모리를 공급할 계획이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해 슈퍼컴퓨터와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오픈AI는 웨이퍼 기준 월 90만 매 규모의 고성능 D램 수요를 예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역량을 모두 갖춘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 패키징과 융복합 기술까지 아우르는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삼성SDS는 오픈AI와 AI 데이터센터 설계와 구축, 운영에 협력한다. 이를 기반으로 기업용 AI 서비스 제공 사업을 확대한다. 삼성SDS는 오픈AI 모델을 사내 시스템에 도입하려는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과 구축,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최초로 오픈AI 기업용 서비스를 판매·지원하는 리셀러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챗GPT 엔터프라이즈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삼성물산과 삼성중공업은 해상에 설치하는 플로팅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에 나선다. 이 설비는 공간 제약이 적고 냉각 비용과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 회사는 독자 기술을 바탕으로 플로팅 데이터센터와 부유식 발전설비, 관제센터 개발을 추진한다.
이번 협력은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벌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 반도체와 통신, 플랫폼 경쟁력을 가진 한국 기업들이 오픈AI와 손잡으면서 국가 차원의 AI 경쟁력 강화에 힘을 보태는 구도가 만들어지고 있다.
◆'글로벌 1위 메모리 기술', 오픈AI가 삼성 택한 이유
오픈AI가 삼성전자를 전략 파트너로 선택한 배경에는 검증된 제품 성능과 안정적 공급 역량이 있다. AI 학습에는 막대한 데이터 처리 능력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고성능 메모리가 필수적이다. 삼성은 글로벌 메모리 시장 1위를 지켜온 파트너로, 경기 변동에도 흔들림 없는 시설투자로 안정적 공급망을 유지해왔다. 고대역폭메모리(HBM), 그래픽 전용 고속 메모리(GDDR), 고용량 D램, 고속 반도체 저장장치(SSD)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해 AI 학습과 추론 전 과정에 대응할 수 있다.
AI 시대 메모리 기술이 직면한 과제도 있다. 생성형 AI 확산으로 전력 소비가 급증했고, GPU 성능 향상 속도를 메모리 대역폭이 따라가지 못하는 '메모리 월(Memory Wall)' 현상도 나타났다. AI 신뢰성 강화를 위한 RAG(검색증강생성) 도입은 초대용량 SSD 수요를 키우고 있다. 삼성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HBM, 초고용량 SSD, LPCAMM2(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 PIM(Processing in Memory) 기술을 적용한 LPDDR5X-PIM 등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을 내놓고 있다.
AI와 메모리 반도체는 상호 보완적 관계다. AI의 발전은 연산량 폭증을 부르고, 이는 곧 메모리 수요 증가로 이어진다. 시장조사기관 욜 그룹(Yole Group)은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시장이 오는 2030년 약 492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데이터인텔로(Dataintelo)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1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은 최근 수년간 대규모 시설투자를 이어왔다. 2020년 32조9000억 원에서 2024년 46조3000억 원 규모까지 투자액을 확대했다.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의 2025년 기준 D램 웨이퍼 생산량은 769만5000장으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이는 오픈AI가 추진하는 초대형 인프라 사업에서 삼성의 핵심적 위치를 뒷받침한다.
삼성과 오픈AI는 단기적 협력을 넘어 장기 비전도 공유한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친환경 제조, 데이터센터 탄소중립 전략을 접목해 책임 있는 AI 발전 모델을 지향한다. 삼성은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 투자에도 적극적이다. 매년 삼성 AI 포럼을 열어 세계 석학들과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삼성 AI 연구자상'을 제정해 글로벌 신진 연구자를 발굴해왔다.
삼성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며, 한국이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비전을 분명히 했다.
syu@newspim.com